바이오산업 개념 및 특징
정의
바이오산업은 바이오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산업
바이오기술(Biotechnology)은 생물체 기능을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거나 유전적 구조를 변형시켜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게 하는 복합적 기술
분류
바이오산업은 DNA·단백질·세포 등 생명체 관련기술을 직접 활용해 의약, 농업 뿐만 아니라 화학 ·연료 및 IT ·NT 등의 기술융합으로 응용범위 확대
- 국내에서는 편의상 의약·융합·산업·그린 BT로 분류 (※ 바이오산업 통계조사에서는 8개 중분류(KS J 1009)로 세분화)
- 유럽에서는 Red-Bio(의약), White-Bio(산업), Green-Bio(그린)로 분류
특징
위험은 크지만 고수익을 낼 수 있고 R&D Intensive한 산업
- High Risk : 대표적인 제품인 의약품의 경우, 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평균 15년이라는 기간과 10억 달러 이상의 투자가 소요
- High Return : 일단 의약품이 허가가 되면 특허에 의해 복제약 진입을 막고(시장독점), 수 조원의 고수익 창출도 가능
제품화 과정
바이오산업 분야별로 제품화 과정에 차이가 있음
- 의약바이오 : 연구 → 비임상 → 임상(1,2,3상) → 인허가 → 의약품
- 산업바이오 : 연구 → 전처리/가공 → 물성/안전성확보 → 바이오플라스틱
- 그린바이오 : 연구 → 유전자원 획득 → 성능개선 → 인허가 → 작물보호제
- 융합바이오 : 연구 → 요소기술 → 시제품 → 인허가 → 진단칩, 유전체예측
글로벌 바이오산업 현황 및 전망
삶의 질 향상,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에 따른 헬스케어 지출 증가에 따라 글로벌 바이오시장은 지속 확대 전망
- 바이오산업 세계 시장규모는 ’13년 330조원(2,620억 달러)에서 ’20년 635조원(6,296억 달러)으로 연평균 9.8% 성장 전망
- 보건의료 부문은 ’13년 221조원 규모로 세계 바이오시장의 67.1%를 차지, 이외에 산업/환경 27조원(8.1%), 농식품 35조원(10.5%) 등으로 구성
“각국은 단기적으로 값이 싼 복제의약품(바이오시밀러)의 사용 촉진, 미국의 경우 중장기적으로 개인 맞춤의학을 통해 매년 증가되는 의료재정을 절감하기 위한 정책 추진 중”
- 개인 또는 환자 유전체 분석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의약품을 복용하여 불필요한 의약품 사용과 비용을 줄임
- PC가격 1,000달러에 따른 보편화로 IT혁명이 유도된 것과 같이 개인 유전체 분석 1,000달러 시대에 따른 BT혁명 도래 전망
“한편, 선진국의 환경규제 강화,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바이오분야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있음.”
- 기존에 석유를 원료로 한 화학제품․연료를 식물 등 재생가능원료를 기반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오 디젤․에탄올 제조
- 휴대 가능 소형 질병진단기기 및 실시간 생체변화 측정기기 등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바이오산업 분류체계
바이오산업 분류체계의 경우 산업통상자원부의 ‘생물기술, 산업제품의 표준화 기반구축’ 제2세부과제인 ‘생물산업/생물공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구축 및 생물산업 구조분석’ 사업 결과를 반영하여 2008년 1월 31일 기술표준원에서 바이오산업 분류를 8개로 코드화한 국가표준(KS) KS J 1009 (바이오산업 분류코드 : Bioindustry Classification Code) 을 제정함
1. 바이오의약산업(Biopharmaceutical Industry)
코드 | 산업분류명 | 영문명 |
---|---|---|
1010 | 항생제 | Antibiotics |
1020 | 항암제 | Anticancer medications |
1030 | 백신 | Vaccines |
1040 | 호르몬제 | Hormones |
1050 | 면역제제 | Immunotherapeutics |
1060 | 혈액제제 | Hemotherapeutics |
1070 | 성장인자 | Growth factors |
1080 | 신개념치료제 (유전자의약품,세포치료제,복제장기 등) |
New therapeutics (ex. gene therapeutics, cell therapy, cloned organs, etc) |
1090 | 진단키트 | Diagnostic kits |
1100 | 동물약품 | Animal medications |
1000 | 기타 바이오의약제품 | Other biopharmaceuticals |
2. 바이오화학산업(Biochemical Industry)
코드 | 산업분류명 | 영문명 |
---|---|---|
2010 | 바이오고분자 | Biopolymers |
2020 | 산업용 효소 및 시약류 | Industrial enzymes and reagents |
2030 | 연구․실험용 효소 및 시약류 | Enzymes and reagents for research |
2040 | 바이오화장품 및 생활화학제품 | Biocosmetics and home & personal care chemicals |
2050 | 바이오농약 및 비료 | Biological agrochemicals and fertilizers |
2000 | 기타 바이오화학제품 | Other biochemicals |
3. 바이오식품산업(Biofood Industry)
코드 | 산업분류명 | 영문명 |
---|---|---|
3010 | 건강기능식품 | Functional health foods |
3020 | 아미노산 | Amino acids |
3030 | 식품첨가물 | Food additives |
3040 | 발효식품 | Fermented foods |
3050 | 사료첨가제 | Feed additives |
3000 | 기타 바이오식품 | Other biofoods |
4. 바이오환경산업(Bioenvironmental Industry)
코드 | 산업분류명 | 영문명 |
---|---|---|
4010 | 환경처리용 미생물제제 | Microbial treatment agents |
4020 | 미생물 고정화 소재 및 설비 | Microbe-immobilized materials and equipments |
4030 | 바이오환경제제 및 시스템 | Bioenvironmental agents and systems |
4040 | 환경오염 측정시스템 (측정기구 및 진단, 서비스) |
Measuring apparatu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service for pollution assessment) |
4000 | 기타 바이오환경제품 및 서비스 | Other bioenvironmental productions and services |
5. 바이오전자산업(Bioelectronics Industry)
코드 | 산업분류명 | 영문명 |
---|---|---|
5010 | DNA칩 | DNA chips |
5020 | 단백질칩 | Protein chips |
5030 | 세포칩 | Cell chips |
5040 | 바이오센서 | Biosensors |
5050 | 바이오멤스 | BioMEMS |
5000 | 기타 바이오전자제품 | Other bioelectronics |
6.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Bioprocess and equipment Industry)
코드 | 산업분류명 | 영문명 |
---|---|---|
6010 | 바이오반응기 | Bioreactors |
6020 | 생체의료기기 및 진단기 | Biomedical and diagnostic apparatuses |
6030 | 바이오공정 및 분석기기 | Bioprocess and analysis equipments |
6040 | 공장 및 공정 설계 | Plant and process design |
6000 | 기타 바이오공정 및 기기 | Other Bioprocesses and equipments |
7.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Bioenergy and bioresource Industry)
코드 | 산업분류명 | 영문명 |
---|---|---|
7010 | 바이오연료 | Biofuel |
7020 | 인공종자 및 묘목 | Artifical seeds and seedlings |
7030 | 실험동물 | Experimental animals |
7040 | 유전자 변형 동․식물 | Transgenic animals and plants |
7000 | 기타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 | Other bioenergy and bioresources |
8. 바이오검정,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업(Bioassay, bioinformatics and R&D service Industry)
코드 | 산업분류명 | 영문명 |
---|---|---|
8010 | 바이오정보서비스 | Bioinformatics services |
8020 | 유전자관련 분석 서비스 | Gene analysis services |
8030 | 단백질관련 분석 서비스 | Protein analysis services |
8040 | 연구개발 서비스 | R&D services (ex. drug development services, etc) |
8050 | 바이오안전성 및 효능 평가 서비스 | Biosafety and efficacy evaluation services |
8060 | 진단 및 보관 서비스 | Diagnosis and preservation services |
8000 | 기타 바이오검정, 정보 개발 서비스 | Other bioassays, bioinformatics services |
바이오산업체의 소재지별 분포
국내 바이오산업체는 본사와 바이오사업장 모두 서울⋅경기 지역에 많이 위치하며, 본사는 서울에 313개, 바이오사업장은 경기에 313개가 있음.
<바이오산업체의 소재지별 분포>
(단위 : 개)
* 바이오사업장의 경우 공장 > 연구소 > 본사의 순서로 소재지 분석
<바이오산업체의 분야별 소재지별 분포>
(단위 : 개)
구분 | 전체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전체 | 978 | 185 | 14 | 23 | 22 | 10 | 81 | 9 | 6 |
바이오의약산업 | 330 | 84 | 3 | 7 | 9 | 1 | 19 | 1 | 1 |
바이오화학산업 | 206 | 24 | 2 | 3 | 4 | 2 | 34 | 3 | 3 |
바이오식품산업 | 197 | 22 | 7 | 4 | 4 | 2 | 7 | 해당없음- | 2 |
바이오환경산업 | 76 | 5 | 1 | 6 | 3 | 2 | 4 | 2 | 해당없음- |
바이오전자산업 | 22 | 7 | 해당없음- | 1 | 1 | 1 | 2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바이오 공정 및 기기산업 | 71 | 20 | 해당없음- | 1 | 1 | 1 | 7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 26 | 1 | 1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2 | 3 | 해당없음- |
바이오검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산업 | 50 | 22 | 해당없음- | 1 | 해당없음- | 1 | 6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구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전체 | 313 | 55 | 72 | 57 | 26 | 28 | 34 | 29 | 14 |
바이오의약산업 | 137 | 11 | 28 | 18 | 5 | 1 | 2 | 2 | 1 |
바이오화학산업 | 48 | 13 | 14 | 14 | 5 | 10 | 15 | 8 | 4 |
바이오식품산업 | 45 | 18 | 19 | 18 | 8 | 10 | 10 | 14 | 7 |
바이오환경산업 | 25 | 8 | 5 | 1 | 4 | 3 | 3 | 4 | 해당없음- |
바이오전자산업 | 5 | 4 | - | 1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바이오 공정 및 기기산업 | 31 | 1 | 1 | 4 | 해당없음- | 2 | 2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 8 | 해당없음- | 3 | 해당없음- | 3 | 2 | 1 | 1 | 1 |
바이오검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산업 | 14 | 해당없음- | 2 | 1 | 1 | 해당없음- | 1 | 해당없음- | 1 |
* 업체당 주력분야 1개를 정하여 응답한 결과를 분석
- 국내 바이오산업 분야별 소재지별 TOP3 지역은 다음과 같음
- 바이오의약산업 : 경기 41.5% < 서울 25.5% > 충북 8.5%
- 바이오화학산업 : 경기 23.3% < 대전 16.5% > 서울 11.7%
- 바이오식품산업 : 경기 22.8% < 서울 11.2% > 충북 9.6%
- 바이오환경산업 : 경기 32.9% < 강원 10.5% > 서울 6.6%
- 바이오전자산업 : 서울 31.8% < 경기 22.7% > 강원 18.2%
-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 : 경기 43.7% < 서울 28.2% > 대전 9.9%
-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 경기 30.8% < 울산/충북/전북 11.5%
- 바이오검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산업 : 서울 44.0% < 경기 28.0% > 대전 12.0%
분야별 인력 현황
- 2015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체 978개 기업에 종사하는 인력 수는 39,686명으로 2014년 대비 1,885명 증가했으며, 업체별로는 평균 40.6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바이오산업부문 인력은 연구인력 12,782명(32.2%), 생산인력 13,564명 (34.2%), 영업/관리인력 13.340명(33.6%)으로 구성됨
<2015년 바이오산업 종사자 인력 분포>
<2015년 바이오산업 분야별 종사자 인력 분포>
(단위 : 개, 명, %)
구분 | 업체수 | 연구인력 | 생산인력 | 영업/관리 | 계 | 산업별 구성비 |
|
---|---|---|---|---|---|---|---|
전체 | 인력 | 978 | 12,782 | 13,564 | 13,340 | 39,686 | 100.0 |
비율 | 100.0 | 32.2 | 34.2 | 33.6 | 100.0 | ||
바이오의약산업 | 330 | 6,157 | 7,147 | 7,514 | 20,818 | 52.5 | |
바이오화학산업 | 206 | 2,168 | 1,453 | 1,394 | 5,015 | 12.6 | |
바이오식품산업 | 197 | 1,659 | 3,029 | 1,831 | 6,519 | 16.4 | |
바이오환경산업 | 76 | 357 | 369 | 488 | 1,214 | 3.1 | |
바이오전자산업 | 22 | 303 | 576 | 306 | 1,185 | 3.0 | |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 | 71 | 428 | 510 | 576 | 1,514 | 3.8 | |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 26 | 371 | 409 | 369 | 1,149 | 2.9 | |
바이오검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산업 |
50 | 1,339 | 71 | 862 | 2,272 | 5.7 |
<2015년 바이오산업 분야별 종사자 인력 구성비>
(단위 : %)

- 전체-연구인력:32.2-생산인력:34.2-영업/관리인력:33.6
- 바이오의약산업-연구인력:29.6-생산인력:34.3-영업/관리인력:36.1
- 바이오화학산업-연구인력:43.2-생산인력:29.0-영업/관리인력:27.8
- 바이오식품산업-연구인력:25.4-생산인력:46.5-영업/관리인력:28.1
- 바이오환경산업-연구인력:29.4-생산인력:30.4-영업/관리인력:40.2
- 바이오전자산업-연구인력:25.6-생산인력:48.6-영업/관리인력:25.8
-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연구인력:28.3-생산인력:33.7-영업/관리인력:38.0
-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연구인력:32.3-생산인력:35.6-영업/관리인력:32.1
- 바이오검정,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산업-연구인력:58.9-생산인력:3.1-영업/관리인력:37.9
시도별 인력 현황
2015년 기준 바이오산업 인력은 시도별로 경기 지역이 13,634명으로 34.4%의 비율을 보여 가장 많은 바이오 인력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남.
다음으로는 충북(5,626명), 서울(4,745명), 인천(3,546명) 순으로 바이오 인력 수가 많음
< 2015년 바이오산업 시도별 인력 분포 >
(단위 : 명, %)
구분 | 박사 | 석사 | 학사 | 기타 | 계 | 구성비 | |
---|---|---|---|---|---|---|---|
전체 | 인력 | 2,342 | 8,140 | 16,718 | 12,486 | 39,686 | 100.0 |
비율 | 5.9 | 20.5 | 42.1 | 31.5 | 100.0 | ||
서울 | 376 | 1106 | 2,568 | 695 | 4,745 | 12.0 | |
부산 | 14 | 37 | 57 | 62 | 170 | 0.4 | |
대구 | 18 | 65 | 231 | 249 | 563 | 1.4 | |
인천 | 151 | 812 | 1,317 | 1,266 | 3,546 | 8.9 | |
광주 | 3 | 19 | 36 | 5 | 63 | 0.2 | |
대전 | 306 | 640 | 874 | 366 | 2,186 | 5.5 | |
울산 | 15 | 85 | 237 | 204 | 541 | 1.4 | |
세종 | 11 | 69 | 213 | 136 | 29 | 1.1 | |
경기 | 772 | 3,007 | 5,061 | 4,794 | 13,634 | 34.4 | |
강원 | 133 | 349 | 935 | 903 | 2,320 | 5.8 | |
충북 | 218 | 988 | 2,733 | 1,687 | 5,626 | 14.2 | |
충남 | 95 | 327 | 677 | 807 | 1,906 | 4.8 | |
전북 | 122 | 419 | 1,087 | 699 | 2,327 | 5.9 | |
전남 | 31 | 53 | 184 | 134 | 402 | 1.0 | |
경북 | 27 | 54 | 187 | 149 | 417 | 1.1 | |
경남 | 24 | 82 | 252 | 257 | 615 | 1.5 | |
제주 | 26 | 28 | 69 | 73 | 196 | 0.5 |
종사자 규모별 분포
- 국내 바이오산업체의 기업 전체 종사자 규모를 기준으로 보면, ‘1~50명 미만’ 기업이 574개(59.4%)로 가장 많음. (미분류 11개 업체 제외)
- 1,000명 이상의 기업은 46개(4.8%)인 것으로 나타남.
<바이오산업체의 종사자 규모별 분포>
<바이오산업체의 분야별 종사자 규모>
(단위 : 개)

바이오의약산업
- 1~50명미만:126
- 50~300명미만:133
- 300~1000명미만:48
- 1000명이상:17
바이오화학산업
- 1~50명미만:143
- 50~300명미만:39
- 300~1000명미만:8
- 1000명이상:14
바이오식품산업
- 1~50명미만:127
- 50~300명미만:44
- 300~1000명미만:12
- 1000명이상:12
바이오환경산업
- 1~50명미만:60
- 50~300명미만:13
- 300~1000명미만:1
- 1000명이상:1
바이오전자산업
- 1~50명미만:15
- 50~300명미만:5
- 300~1000명미만:2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
- 1~50명미만:50
- 50~300명미만:18
- 300~1000명미만:2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 1~50명미만:18
- 50~300명미만:6
- 300~1000명미만:1
- 1000명이상:1
바이오검정,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 산업
- 1~50명미만:35
- 50~300명미만:14
- 300~1000명미만:1
* 종사자 규모 미분류 기업은 제외
분야별 생산, 수급 현황
- 2011년~2015년 바이오산업의 수급변화 추이를 보면 생산은 2014년에 주춤하였으나 2015년에 11.2%로 성장하였고 내수는 2013년까지 성장 후 2014년에 2.3% 감소하였음
- 이에 따라 전제 수급 역시 2014년에 줄어들었다가 2015년에 다시 회복하고 있으며, 2011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은 수급이 5.5%, 생산이 7.2%, 내수가 1.9%임
<2011년~2015년 바이오산업 수급 변화 추이>
(단위 : 억 원,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연평균 | |
---|---|---|---|---|---|---|---|
수급 (생산+수입) |
금액 | 29,574 | 85,756 | 88,980 | 90,076 | 98,694 | 5.5 |
증감률 | 10.6 | 7.8 | 3.8 | 1.2 | 9.6 | ||
생산 (국내판매+수출) |
금액 | 63,963 | 71,445 | 75,108 | 76,070 | 84,607 | 7.2 |
증감률 | 10.5 | 11.7 | 5.1 | 1.3 | 11.2 | ||
내수 (국내판매+수입) |
금액 | 52,081 | 55,281 | 57,337 | 56,024 | 56,181 | 1.9 |
증감률 | 9.6 | 6.1 | 3.7 | -2.3 | 0.3 |
<2011년~2015년 바이오산업 수급 변화 추이>
(단위 : 억 원)
시도별 생산, 내수현황
시도별로 경기 지역이 생산과 내수의 비중이 각각 49.5%, 31.4%로 가장 크며, 충북은 생산과 내수의 비율이 16.6%. 21.5%로 전국규모 2위로 조사됨
구분 | 생산 | 내수 | ||||||
---|---|---|---|---|---|---|---|---|
국내 판매 |
수출 | 계 | 비중 | 국내 판매 |
수입 | 계 | 비중 | |
전체 | 4,209,360 | 4,251,346 | 8,460,706 | 100.0 | 4,209,360 | 1,408,699 | 5,618,059 | 100.0 |
서울 | 238,744 | 54,431 | 293,175 | 3.5 | 238,744 | 864,970 | 1,103,714 | 19.6 |
부산 | 1,011 | 해당없음- | 1,011 | 0.0 | 1,011 | 해당없음- | 1,011 | 0.0 |
대구 | 8,899 | 1,209 | 10,108 | 0.1 | 8,899 | 해당없음- | 8,899 | 0.2 |
인천 | 39,083 | 664,891 | 703,974 | 8.3 | 39,083 | 132,872 | 171,955 | 3.1 |
광주 | 3,434 | 977 | 4,411 | 0.1 | 3,434 | 해당없음- | 3,434 | 0.1 |
대전 | 188,203 | 120,768 | 308,971 | 3.7 | 188,203 | 60,509 | 248,712 | 4.4 |
울산 | 371,010 | 20,814 | 391,824 | 4.6 | 371,010 | 해당없음- | 371,010 | 6.6 |
세종 | 22,920 | 170 | 23,090 | 0.3 | 22,920 | 1,859 | 24,779 | 0.4 |
경기 | 1,600,425 | 2,586,695 | 4,187,120 | 49.5 | 1,600,425 | 163,492 | 1,763,917 | 31.4 |
강원 | 78,762 | 135,545 | 214,307 | 2.5 | 78,762 | 5,416 | 84,178 | 1.5 |
충북 | 1,051,395 | 352,288 | 1,403,683 | 16.6 | 1,051,395 | 155,612 | 1,207,007 | 21.5 |
충남 | 78,827 | 15,076 | 93,903 | 1.1 | 78,827 | 15,805 | 94,632 | 1.7 |
전북 | 313,390 | 259,741 | 573,131 | 6.8 | 313,390 | 1,697 | 315,087 | 5.6 |
전남 | 157,216 | 1,163 | 158,379 | 1.9 | 157,216 | 해당없음- | 157,216 | 2.8 |
경북 | 37,116 | 10,060 | 47,176 | 0.6 | 37,116 | 해당없음- | 37,116 | 0.7 |
경남 | 15,287 | 27,239 | 42,526 | 0.5 | 15,287 | 6,466 | 21,753 | 0.4 |
제주 | 3,638 | 281 | 3,919 | 0.0 | 3,638 | 해당없음- | 3,638 | 0.1 |
바이오산업 투자 현황
- 2015년 1년간 바이오산업 업체의 총 투자비는 5조 6,618억 원이며, 이 중 바이오산업 부문 총 투자비는 1조 7,245억 원으로 총 투자비의 30.5% 수준임
- 바이오산업 부문 연구개발비는 1조 3,126억 원으로 업체 총 연구개발비의 26.9% 수준이었으며, 바이오산업 부문 시설투자비는 4,120억 원으로 업체 총 시설투자비의 53.0%를 차지함
<2015년 업체 총 투자비 및 바이오산업부문 투자비>
(단위 : 백만 원)
<2015년 바이오산업 분야별 투자규모>
(단위 : 개, 백만 원)
구분 | 업체수 | 연구개발비 | 시설투자비 | 전체투자비 | |||
---|---|---|---|---|---|---|---|
총투자액 | 평균 투자액 |
총투자액 | 평균 투자액 |
총투자액 | 평균 투자액 |
||
전체 | 978 | 1,312,560 | 1,342.1 | 411,962 | 421.2 | 1,724,522 | 1,763.3 |
바이오의약산업 | 330 | 996,423 | 3,019.5 | 353,457 | 1,071.1 | 1,349,880 | 4,090.5 |
바이오화학산업 | 206 | 118,190 | 573.7 | 18,457 | 89.6 | 136,647 | 663.3 |
바이오식품산업 | 197 | 86,500 | 439.1 | 13,219 | 67.1 | 99,719 | 506.2 |
바이오환경산업 | 76 | 9,183 | 120.8 | 1,793 | 23.6 | 10,976 | 144.4 |
바이오전자산업 | 22 | 22,764 | 1,034.7 | 1,087 | 49.4 | 23,851 | 1,084.1 |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 | 71 | 21,038 | 296.3 | 1,553 | 21.9 | 22,591 | 318.2 |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
26 | 21,064 | 810.2 | 4,056 | 156.0 | 25,120 | 966.2 |
바이오검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산업 | 50 | 37,398 | 748.0 | 18,340 | 366.8 | 55,738 | 1,114.8 |
시도별 바이오산업 투자 현황
- 시도별로 연구개발비는 경기, 인천 지역에서, 시설투자비는 인천 지역에서 투자 금액이 크며 , 충북이 뒤이어서 217,661백만원을 투자하고 있음
- 평균 투자액은 연구개발비의 경우 인천 지역이 163억 원, 시설투자비 또한 인천 지역이 104억 원으로 가장 큼
<2015년 바이오산업 시도별 투자규모>
(단위 : 개, 백만 원)
구분 | 업체수 | 연구개발비 | 시설투자비 | 전체투자비 | |||
---|---|---|---|---|---|---|---|
총투자액 | 평균 투자액 |
총투자액 | 평균 투자액 |
총투자액 | 평균 투자액 |
||
전체 | 978 | 1,312,560 | 1,342.1 | 411,962 | 421.2 | 1,724,522 | 1,763.3 |
서울 | 185 | 98,379 | 531.8 | 11,184 | 60.5 | 109,563 | 592.2 |
부산 | 14 | 1,639 | 117.1 | 515 | 36.8 | 2,154 | 153.9 |
대구 | 23 | 2,988 | 129.9 | 337 | 14.7 | 3,325 | 144.6 |
인천 | 22 | 359,530 | 16,342.3 | 228,994 | 10,408.8 | 588,524 | 26,751.1 |
광주 | 10 | 503 | 50.3 | 160 | 16.0 | 663 | 66.3 |
대전 | 81 | 128,402 | 1,585.2 | 28,605 | 353.1 | 157,007 | 1,938.4 |
울산 | 9 | 33,745 | 3,749.4 | 12,917 | 1435.2 | 46,662 | 5,184.7 |
세종 | 6 | 22,667 | 3,777.8 | 1,700 | 283.3 | 24,367 | 4,061.2 |
경기 | 313 | 360,156 | 1,150.7 | 58,870 | 188.1 | 419,026 | 1,338.7 |
강원 | 55 | 31,618 | 574.9 | 9,547 | 173.6 | 41,165 | 748.5 |
충북 | 72 | 174,956 | 2,429.9 | 42,705 | 593.1 | 217,661 | 3,023.1 |
충남 | 57 | 21,642 | 379.7 | 8,401 | 147.4 | 30,043 | 527.1 |
전북 | 26 | 63,405 | 2,438.7 | 2,570 | 98.8 | 65,975 | 2,537.5 |
전남 | 28 | 2,036 | 72.7 | 3,238 | 115.6 | 5,274 | 188.4 |
경북 | 34 | 3,79 | 111.7 | 840 | 24.7 | 4,639 | 136.4 |
경남 | 29 | 4,480 | 154.5 | 505 | 17.4 | 4,985 | 171.9 |
제주 | 14 | 2,615 | 186.8 | 874 | 62.4 | 3,489 | 249.2 |
2011년~2015년 수출 변화 추이
- 바이오산업 수출액은 2011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전년 대비 24.8%의 높은 증가율을 보임.
- 2011년 이후 최근 5년간 바이오산업 수출은 연평균 11.5%의 증가율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2011년~2015년 바이오산업 수출 변화 추이>
(단위 : 억 원,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연평균 증감률 |
|
---|---|---|---|---|---|---|---|
수출 | 금액 | 27,494 | 30,475 | 31,642 | 34,052 | 42,513 | 11.5 |
증감률 | 12.6 | 10.8 | 3.8 | 7.6 | 24.8 |
<2011년~2015년 바이오산업 수출 변화 추이>
(단위 : 억 원)
<2011년~2015년 바이오산업 분야별 수출 변화 추이>
(단위 : 백만 원,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전년 대비 증감 |
연평균 증감률 |
||||||
---|---|---|---|---|---|---|---|---|---|---|---|---|---|
수출 | 비중 | 수출 | 비중 | 수출 | 비중 | 수출 | 비중 | 수출 | 비중 | 수출 | 증감률 | ||
전체 | 2,749,355 | 100 | 3,047,521 | 100 | 3,164,248 | 100 | 3,405,174 | 100 | 4,251,346 | 100 | 846,172 | 24.8 | 11.5 |
바이오의약산업 | 954,412 | 34.7 | 1,131,198 | 37.7 | 1,136,385 | 35.9 | 1,342,190 | 39.4 | 1,894,416 | 44.6 | 552,225 | 41.1 | 18.7 |
바이오화학산업 | 74,783 | 2.7 | 96,766 | 3.2 | 111,110 | 3.5 | 132,339 | 3.9 | 135,203 | 3.2 | 2,865 | 2.2 | 16.0 |
바이오식품산업 | 1,531,965 | 55.7 | 1,607,654 | 52.8 | 1,682,131 | 53.2 | 1,667,157 | 49.0 | 1,925,962 | 45.3 | 258,805 | 15.5 | 5.9 |
바이오환경산업 | 2,782 | 0.1 | 18 | 0.0 | 12 | 0.0 | 192 | 0.0 | 303 | 0.0 | 111 | 58.0 | -42.5 |
바이오전자산업 | 92,623 | 3.4 | 99,841 | 3.3 | 115,882 | 3.7 | 118,782 | 3.5 | 129,425 | 3.0 | 10,643 | 9.0 | 8.7 |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 |
37,199 | 1.4 | 45,256 | 1.5 | 49,177 | 1.6 | 59,997 | 1.8 | 73,548 | 1.7 | 13,551 | 22.6 | 18.6 |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
25,393 | 0.9 | 29,254 | 1.0 | 28,690 | 0.9 | 43,272 | 1.3 | 46,741 | 1.1 | 3,469 | 8.0 | 16.5 |
바이오검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산업 |
30,198 | 1.1 | 37,534 | 1.2 | 40,861 | 1.3 | 41,244 | 1.2 | 45,749 | 1.1 | 4,505 | 10.9 | 10.9 |
2011년~2015년 수입 변화 추이
국내 바이오산업의 수입은 2012년과 2013년에 감소하다가 2014년, 2015년에 소폭 증가하였으며, 2011년 이후 연평균 수입 증가율은 –2.5%임
<2011년~2015년 바이오산업 수입 변화 추이>
(단위 : 억 원,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연평균 증감률 |
|
---|---|---|---|---|---|---|---|
수입 | 금액 | 15,612 | 14,311 | 13,872 | 14,006 | 14,087 | -2.5 |
증감률 | 11.1 | -8.3 | -3.1 | 1.0 | 0.6 |
<2011년~2015년 바이오산업 수입 변화 추이>
(단위 : 억 원)
<2011년~2015년 바이오산업 분야별 수입 변화 추이>
(단위 : 백만 원,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전년 대비 증감 |
연평균 증감률 |
||||||
---|---|---|---|---|---|---|---|---|---|---|---|---|---|
수입 | 비중 | 수입 | 비중 | 수입 | 비중 | 수입 | 비중 | 수입 | 비중 | 수입 | 증감률 | ||
전체 | 1,561,182 | 100 | 1,431,097 | 100 | 1,387,198 | 100 | 1,400,645 | 100 | 1,408,699 | 100 | 8,054 | 0.6 | -2.5 |
바이오의약산업 | 1,230,328 | 78.8 | 1,241,893 | 86.8 | 1,221,854 | 88.1 | 1,222,661 | 87.3 | 1,220,685 | 86.7 | -1,976 | -0.2 | -0.2 |
바이오화학산업 | 79,718 | 5.1 | 68,726 | 4.8 | 63,609 | 4.6 | 81,114 | 5.8 | 87,710 | 6.2 | 6,596 | 8.1 | 2.4 |
바이오식품산업 | 33,073 | 2.1 | 51,680 | 3.6 | 27,639 | 2.0 | 31,140 | 2.2 | 36,076 | 2.6 | 4,935 | 15.8 | 2.2 |
바이오환경산업 | 239 | 0.0 | 230 | 0.0 | 226 | 0.0 | 226 | 0.0 | 119 | 0.0 | -107 | -47.3 | -16.0 |
바이오전자산업 | 150 | 0.0 | 248 | 0.0 | 1,471 | 0.1 | 760 | 0.1 | 770 | 0.1 | 10 | 1.3 | 50.5 |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 |
205,724 | 13.2 | 54,113 | 3.8 | 57,026 | 4.1 | 54,737 | 3.9 | 53,781 | 3.8 | -956 | -1.7 | -28.5 |
바이오에너지 및 지원산업 |
10,436 | 0.7 | 12,897 | 0.9 | 13,142 | 0.9 | 8,525 | 0.6 | 8,194 | 0.6 | -331 | -3.9 | -5.9 |
바이오검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산업 |
1514 | 0.1 | 1310 | 0.1 | 2231 | 0.2 | 1,482 | 0.1 | 1,364 | 0.1 | -118 | -8.0 | -2.6 |
자료 : ‘15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