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규(1884-1970) | |
내용 |
![]() 백남규는 충북 중원군 금가면 월상리에서 가난한 농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7년 일제의 강압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군복을 벗어야 했다. 그러나 젊은 꿈을 포기할 수 없어 해산된 군인을 규합하여 의병을 일으켜 부하 800명을 거느리고, 충북, 강원도, 경북 등지로 출몰하면서 유격전으로 여러 번 승리하여 전과를 올렸다. 같은 해 경북 풍기면 소천 전투에서 왜적 70명을 사살하고 제천 유치산 전투, 문경 갈평전투에서 대승하였으며 영춘에서 왜군을 추격하여 영월 독산에 이르러 격파하였고 9월엔 제천 싸리치 전투에서 왜군 200여 명을 사살하여 혁혁한 전과를 거두니 왜군이 백남규 대장의 이름만 들어도 놀라 도망칠 정도로 왜군에게는 두려운 존재로 알려졌다. 1908년 4월 안동 서벽 전투에서는 대구방면에서 왜적들이 구름처럼 몰려오고 있다가 보고를 받고 길에 매복하고 있다가 올라오는 적을 포위하고 일제히 사격을 가하여 격퇴시켰으며 안동 재산(才山) 전투에서는 유도작전으로 섬멸하였다. 그해 제천 오미리 전투에서도 지략으로 적을 유도하여 큰 전과를 올려 도선봉장(都先鋒將)이 되었고, 문경 갈평 싸움에서도 크게 승전하였다. 이처럼 뛰어난 용맹과 투철한 전술로 승승장구 왜적을 섬멸하다가 1909년 12월 경기도 죽산에서 적과 접전하던 중 왜경에게 체포되었는데 무기형을 받고 투옥되었다가 8년 만에 특사로 출옥하였다. 오랫동안 옥고를 치렀어도 조국광복에 대한 불타는 마음을 누룰 수 없어 단양일대에서 의병을 모아 활약하다가 다시 체포되어 15년간의 긴 옥고를 치러야 했다. 평생을 오직 조국광복을 위하여 응달진 곳에서 적과 싸워 오다가 드디어 1945년 조국 광복을 맞게 되니 그 기쁨이 오죽하였겠는가. 왜경의 갖은 학대를 참아 가며 연명해 온 보람을 느꼈으리라. 광복이 된 조국에서 우국노인회 및 국민회 고문을 역임하다가 1970년 노환으로 88세를 일기로 유명을 달리하니 장계를 충주시민장으로 온 도민의 애도 속에 엄수되었다. 1963년 3월 1일에는 건국훈장 국민장이 수여되었다. |
---|
- 이전글 한봉수 (1883∼1973)
- 다음글 권용일(1885-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