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공디자인 소개

가이드라인

가이드라인 분류

본 가이드라인은 <충청북도 공공디자인 조례(안)>의 공공디자인 대상 시설물 분류를 기본으로 <한국공공디자인학회> 및 서울시,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혁신도시, 2기 신도시 등의 분류를 종합, 재편하여 <충청북도 공공디자인 분류체계>를 제시한다. 제시된 공공디자인 분류체계를 대상으로 공공공간/공공건축물/공공시설물/공공시각매체/옥외광고물 총 5개 부문으로 나누어 대분류 또는 중분류까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가이드라인 프로세스

본 가이드라인은 상위계획인 <충청북도 경관기본계획>을 분석하여 이를 구현하기 위한 세부요소별 실천전략으로서 접근하였다. 또한 시·군별 현황조사, 유사 광역단위 가이드라인 비교분석,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충북의 공공디자인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적 관점에서의 5개 분야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가이드라인 구성

본 가이드라인은 1.기본개념, 2.현황 및 문제점, 3.기본원칙, 4.가이드라인이 분야별로 별도 구성되고, 5.체크리스트는 5개 분야별로 통합 구성된다. 4. 가이드라인은 <공통 가이드라인>과 <유형별 가이드라인>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공통 가이드라인>은 충청북도 전체의 통합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자 필수적으로 따라야 하는 가이드라인이며 <가이드라인>은 충북경관기본계획을 반영하여 지역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해 자연형/혼합형/인공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한 가이드라인이다. 체크리스트는 공통 가이드라인 중에서도 반드시 지켜져야 할 중요성 있는 항목에 관하여 적용 유무를 확인하는 역할을 하며 자세한 내용은 해당 부문을 참조한다.

공동가이드라인
  • 충북의 최소품질기준을 정의 충청북도 전체 Identity 형성
  • 필수적으로 따라야하는 가이드라인 항목
더하기
자연형 / 혼합형 / 인공형
  •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세부 유형
  • 선택적으로 반영할수 있는 가이드라인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