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ㆍ지세
- 미원면은미원면 일대는 계곡을 중심으로 양쪽에 사면부가 있는 지역으로 좌측 사면부가 우측사면부 보다 낮은 형태의 지형입니다.
- 미원면은 전형적인 내륙성 산간기후로 일교차가 크고 안개와 서리일수가 다소 많아 동물의 서식 및 번식을 위한 장소로 적합합니다.
경ㆍ사향
- 미원면 일대의 경사도 분석은 0%부터 25%사이를 5단계로 나누어 구분하였습니다.
- 계곡부를 중심으로 주변을 따라 30% 미만의 경사도가 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경사도가 0∼3%는 거의 평지로서 전체지역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5등급으로 점수화하였습니다. 또한 3∼8%는 완만한 경사지역,8∼15%는 완만한 구릉지역을 나타내며,15%이상 지역은 경사가 비교적 급한 산림 지역입니다. 전체지역에서 경사가 25%이상의 급경사로 나타나는 지역은 약 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등급으로 점수화하였습니다.
좌우이동이 가능합니다
경ㆍ사향
경ㆍ사향
경사(%) |
화소수(5*5m) |
면 적(㎡) |
비율(%) |
누적비율(%) |
점수 |
합 계 |
- |
3184250 |
100.00 |
- |
- |
0~3 |
58043 |
1451075 |
45.57 |
45.57 |
5 |
3~8 |
45554 |
1138850 |
35.77 |
81.34 |
4 |
8~15 |
15483 |
387075 |
12.16 |
93.40 |
3 |
15~25 |
4976 |
124400 |
3.91 |
97.40 |
2 |
25이상 |
3314 |
82850 |
2.60 |
100.00 |
1 |
경사분석결과
- 미원면 일대의 향 분석은 북동·북서향, 동·서향, 남동·남서향, 남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습니다
- 향은 생태계 순환을 위한 근원이 되는 태양 에너지의 확보와 관련되어 생물의 에너지 활용 및 순환을 위해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분석요소로, 분석결과 북동·북서향이 가장 많았으나 대체로 향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향분석결과
좌우이동이 가능합니다
향분석결과
향분석결과
향 |
화소수(5*5m) |
면 적(㎡) |
비 율(%) |
누적비율(%) |
점수 |
합 계 |
- |
3,174,375 |
100.00 |
- |
- |
남 |
23,792 |
594,800 |
18.74 |
18.74 |
4 |
남동, 남서 |
29,307 |
732,675 |
23.08 |
41.82 |
3 |
동, 서 |
32,853 |
821,325 |
25.87 |
67.69 |
2 |
북동, 북서 |
41,023 |
1,025,575 |
32.31 |
100.00 |
1 |
수계
- 우수가 계곡변을 따라 양사면에서 대상지의 중심으로 모여들어 서남측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 수계의 분석은 범람 가능지역의 파악 및 동식물의 서식공간. 이용자들을 위한 친수공간 등의 적지파악을 위하여 중요합니다.
토양
- 크게 미사질 양토와 양토 2가지로 분류되었습니다.
- 미사질 양토는 전체지역의 약 76.80%를 그 밖에 양토가 약 23.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좌우이동이 가능합니다
경ㆍ사향
경ㆍ사향
토 양 |
화소수(5*5m) |
면 적(㎡) |
비 율(%) |
누적비율(%) |
양토 |
7364 |
736400 |
23.20 |
23.20 |
미사질 토양 |
24377 |
2437700 |
76.80 |
100.00 |
합 계 |
31741 |
3174100 |
100.00 |
- |
기후
-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중부내륙성 산간기후로 기상청 자료기준에 의하면 1998년 평균기온 11.8℃ 최고 평균 기온은 32.8℃,최저 평균기온은 영하 15.4℃로 동물의 서식 및 번식에 있어 적합한 지역.
- 최근 10년간 평균 강수량은 1,278㎜이며 7, 8, 9월에 전체 강수량의 약 58%가 집중되고 있으며 증발량이 많아 여름에는 고온다습합니다.
- 강설은 12월부터 시작하여 이듬해 3월까지 계속되며 1월에 최다강설 일수를 기록하지만 적설량은 불규칙합니다.
- 습도는 년평균 73%로 다습한 편에 속하며 식물의 생육환경에 적당합니다.
임상도
- 낙엽송림, 소나무림, 활엽혼효림, 침활엽혼효림,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경작지, 무입목지로 8가지로 분류합니다.
- 리기다소나무림이 전체지역의 31.70%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침활엽혼효림,활엽혼효림이 각 25.86%, 21.24%입니다.

충청북도에서 제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