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국제공항

기체 중정비/개조

항공부품 R&D센터
개발 개요
- 세종시 관문공항이자 중부권 거점공항으로서의 위상 대두
- 항공산업클러스터 조성 필요성 대두
-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으로 핵심기술 조기 확보 필요
개발 내용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내수읍 일원
- 면적 : 473,713㎡
- 사업비 : 1,569억원
- 사업기간 : 2013~2020년
투자 강점
중부권 거점공항인 청주국제공항
- 국내유일의 바이오분야 국가산업단지인 '오송생명과학단지'와 동북아 바이오메디컬 허브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 전국 최고의 접근성 : 전국 2시간 이내(KTX 오송역 1분 거리), 청주공항 20분, 세종시 10분
전국 2시간대 접근성, 교통과 물류의 중심지
-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 바이오메디컬 시설, 첨단의료복합단지 핵심·연구지원시설 등 바이오 인프라 집적
- 동북아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현재 오송·오창 100여개의 국내·외 관련기업 투자)
동북아 항공산업을 견인할 MRO 허브
- 2021년까지 세계시장 연평균 성장률 3.9% 대비 아시아시장은 6.8% 예상
- 아시아 저가항공사의 급성장에 따른 중대형 기종의 MRO 수요 증가(Frost & Sullivan)
- 공정기간 (Turn Around Time) 최단기화가 가능한 항공MRO산업 최상의 전략적 위치
- 다양한 항공기 부품 물류공급 및 공정 기간 단축 가능
- 대한민국의 전문 토탈 항공MRO서비스 모델 특화
- 항공정비시범단지 지정(2009년)
- 항공MRO유망거점지역 명시(2010년)
- 항공관련 특화기업 보유(LG상사 , 성우엔지니어링)
융합기술 기반의 미래 항공산업 최적지
- 인근 소재 정보통신, 태양광 집적지 및 국내 최대 R&D연구시설 이용
- 대덕연구단지, 오창과학산업단지, 오송바이오밸리, 아시아솔라밸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