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자정보
- 부서 : 기획행정부
- 이름 : 이성래
- 문의전화 : 043-220-8313
차세대 성장 동력산업의 중심축
충북은 신수도권으로서 국가신발전축의 중심인 C벨트, K벨트의 중심축으로 발전하고 있음
신성장거점의 집적지: 충북
충북 청주를 중심으로 반경 80km 이내에 충북(진천·음성) 혁신도시,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내포혁신도시),
충주·태안기업도시, KTX역세권(오송, 대전, 천안·아산, 공주), 경기경제자유구역,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등 국가 대형프로젝트 집적
국내외 최고의 지정학적 요충지
국토의 중심: 충북
사통팔달의 국가기간교통망 구축으로 전국 최적의 접근성 확보
내륙지역의 신산업지대화로 항공물류의 신 거점 : 청주국제공항
- 최근 인천국제공항의 항공화물처리용량 과부족에 따라 대체공항으로 전국 14개 지방공항 가운데 청주국제공항이 선정되어 국제선 화물기취항
- 활주로 연장(2,744m→3,200m) 예타 대상사업 선정에 따른 여객 및 항공기 수요 증대
광역교통망 확중으로 신수도권의 중심: 충북
전국 및 동북아 최적의 접근성을 기반으로 외자 유치 및 연관산업 육성 가능
국내외 기업의 최적 투자유치 선호지역
저렴하고 우수한 생산용지 공급 가능
50~70만 원대의 저렴한 공업용지 공급 가능
산업 입지 인프라의 최적 여건 보유
- 국가 기간망의 지속적 확충에 따른 산업입지 수요 증대
- 풍부한 공업용수 및 전력 공급 가능지
- 차별화된 교육인프라 확보
저렴하고 풍부한 확장성을 갖춘 우수한 생산가용지와 주변 인프라 확보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의 전초기지
기 조성된 클러스터 기반 융복합산업 허브 구현
- 충북은 반도체, 부품, 완제품으로 이어지는 IT 클러스터 기구
- 오송국가생명과학단지,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6대 국책기관 기반의 바이오산업 초기 인프라 확보
- 청정 인프라를 기반으로 친환경 관련 산업 개발 잠재력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