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자정보
- 부서 : 산림환경과
- 문의전화 : 043-220-6126
산불 MOUNTAIN FIRE
우리나라는 연중 봄철이 가장 건조하고 바람도 강하여 산불 발생건수의 64%가 봄철에 발생하며, 울창해짐에 따라 낙엽든 가연성 지피물이 많이 쌓여있어 한번 발생한 산불은 걷잡을 수 없이 순식간에 번져 대형화되는 등 진화에 어려움이 많다.한번 산불이나면 한순간에 잿더미로 변해 다시 원상 복구하는데 40년~100년이란 긴세월에 걸쳐 막대한 노력과 비용이 투자된다.
산불발생의 3요소

- 열 : 주위연료에 복사열이 닿으면 건조를 촉진, 연소하기 쉬운 상태로된다. 산불에 강해지면 연소중인 열에너지로 화염지점의 공기는 가열되어 급상승하여 불기둥을 형성한다.
- 공기 : 공기중에는 약20%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산소의 작용으로 연료와 열을 결합시켜 산화작용 과정에서 불꽃으로 폭발하는 작용을 한다.
- 연료 : 산불에서의 연료는 식품성으로 고화성 경연료이며 습도 60%이하에서 쉽게 불이 붙고 건조상태일수록 잘 연소된다.
산불진화장비

접는 등짐팸프, 조끼형 등짐팸프, 배낭형 등짐팸프, 진화용 삽, 아전삽, 도끼검 괭이, 도끼, 장낫, 3발 갈퀴, 4발 갈퀴, 낫 갈퀴, 갈퀴, 동력펌프, 운반식 동력펌프, 기계톱
이미지 확대보기
대표적인 산불진화헬기의 종류

인양능력 : 5.000kg
물/약 적재량 : 3.000/2.000L

인양능력 : 478kg
물/약 적재량 : 600/400L

인양능력 : 750kg
물/약 적재량 : 800/500L
산불예방
- 입산시 인화물질 휴대 및 문단 취사 행위 근절
- 입산통제구역에 무단 출입 금지
- 연차, 자동차에서 담배불 투척 및 등산객에 의한 실화 주의
- 산림 내에서의 쓰레기 소각행위 금지 및 관습적인 농산폐기물 소각 형태 개신
산불의 영향
생태학적인 측면
- 탈산림화, 생물 다양성 감소
- 야생동물 서식지 파괴
- 토양 영양물질 소실
- 홍수피해증가
- 국지기상의 변화
- 산성비와 대기오염 증가
-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로 기후변화 초래
경제적인 측면
- 목재, 가축, 임산물 소득 손실
- 산림의 환경기능 손실
- 국립공원의 파괴
- 식품생산과 물 공급으로 비용증가
- 산업교란, 수송교란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사회적인 측면
- 관광객 감소 등
- 산업의 교란
- 대기 중 연무농도에 따라 피부 및 호흡기 계통의 영향 (암, 만성질환의 증가)
산불예방 참여요령
- 산행 전에는 입산통제, 등산로 폐쇄 여부를 확인하고 산불 위험이 높은 통제지역에는 산행을 하지 않습니다.
- 입산시는 성냥, 담배 등 인화성 물질을 소지하지 않습니다.
- 취사를 하거나 모닥불을 피우는 행위는 허용된 지역에서만 실시합니다.
- 성묘, 무속행위로 불가피하게 불씨를 다루어야 할 경우 반드시 간이 소화 장비를 갖추도록 합니다.
- 산림과 연접된 지역에서 소각해야 할 경우 해당관서에 사전 허가를 받고, 불씨가 산림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미리 예방 조치를 하고 소각합니다.
- 산림 또는 산림과 연접된 지역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불씨를 다루지 못하게 하고, 산불조심을 당부합니다.
- 산불 원인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을 경우 즉시 경찰 혹은 산림관서 등에 신고합니다.
산행 중 산불을 발견했을 경우 대처요령
- 산불 발견시 119, 산림관서, 경찰서로 신고합니다.
- 초기의 작은 산불을 진화하고자 할 경우 외투를 사용하여 두드리거나 덮어서 진화할 수 있습니다.
-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확산되므로 바람 방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도록 합니다.
- 불길에 휩싸일 경우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주위를 확인하여 화세가 약한 곳으로 신속히 대피합니다.
- 대피 장소는 타버린 연료지대, 저지대, 연료가 없는 지역, 도로, 바위 뒤 등으로 정합니다.
- 산불보다 높은 위치를 피하고 복사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 대피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 때에는 낙엽, 나뭇가지 등 연료가 적은 곳을 골라 연소물질을 긁어낸 후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어야 합니다.
주택가로 산불이 확산될 경우 대피요령
- 불씨가 집안이나 집으로 옮겨 붙지 못하도록 문과 창문을 닫고, 집 주위에 물을 뿌려주고, 폭발성과 인화성이 높은 가스통 등은 제거합니다.
- 주민대피령이 발령되면 공무원의 지시에 따라서 침착하게 신속히 대피하되 대피 장소는 산림에서 멀리 떨어진 논. 밭, 학교 등 공터로 피합니다.
- 혹시 대피하지 않은 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옆집을 확인 하고 위험상황을 알려줍니다.
산불진화 참여요령
- 산림과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평소 산불진화를 위한 간이 진화도구(괭이, 갈쿠리 등)와 안전장구(안전복, 안전모, 안전화)를 갖추도록 합니다.
- 산불 진화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므로 가까운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건강한 젊은 분은 진화활동에 참여합니다.
- 산불진화에 참여할 경우 현장대책본부의 지시를 받아서 조직적으로 진화활동을 수행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