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자정보
- 부서 : 산림환경과
- 문의전화 : 043-220-6126
세계의 나무
국토면적에따른 산림비율

세계유산의 숲
코스타리카(Costa Rica) | 구아나카스트보호지역 |
---|---|
브라질(Brazil) | 남동부 대서양림 보호지역 |
호주(Australia) | 중동부 열대우림지대 |
러시아(Russia) | 시호테 알린 산맥 중부지역 |
수리남(Surinam) | 수리남 자연보존지구 |
브라질(Brazil) | 디스커버리 해안 대서양림 보호지역 |
카메룬(Cameroon) | 드야의 동물 보호구역 |
태국(Thailand) | 동 피아엔 카오야이 삼림지대 |
스페인(Spain) | 가라호네이 국립공원 |
중국(China) | 구채구 자연경관과 역사지구 |
콩고(Congo) |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 |
포르투칼(Portugal) | 마데이라의 라우리실바 숲 |
페루(Peru) | 마누 국립공원 |
도미니카(Dominica) | 모르네 트로이 피통 국립공원 |
기니/코트디브와르(Ivory Coast) | 님바산의 자연보호지역 |
중국(China) | 무이산 |
미국(USA) | 레드우드 국립공원 |
페루(Peru) | 리오 아비세오 국립공원 |
콩고(Congo) | 살롱가 국립공원 |
일본(Japan) | 시라카미 산지 |
스리랑카(Sri Lanka) | 신하라자 삼림보호지역 |
코트디브와르(Ivory Coast) | 타이 국립공원 |
호주(Australia) | 타즈매니안 야생지대 |
태국(Thailand) | 툰야이 후아이 카켕 동물 보호구역 |
인도네시아(Indonesia) | 수마트라의 열대우림유산 |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 베마라하 자연보호구역 |
인도네시아(Indonesia) | 우중쿨론 국립고우언 |
러시아(Russia) | 버진 코미 삼림지대 |
호주(Australia) | 퀸즐랜드 열대습윤지역 |
일본(Japan) | 야쿠시마 |
미국(USA) | 옐로우스톤 국립공원 |
코스타리카/파나마 (COSTARRICA/PANAMA) |
라 아미스테드 보호지역 및 국립공원 |
레드우드

목재용으로 쓰입니다. 오리건 남서부에서 캘리포니아 중부에 이르는 해변가 안개 운무대의 해발 1,000m 지역에서 자랍니다. 세콰이어삼나무나 삼나무와 구별하기 위해 해안세콰이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유럽 시장에서는 스코틀랜드 소나무를 레드우드라 부릅니다. 키가 90m 이상 자라 현존하는 나무 중 가장 큽니다. 주 줄기에 나는 잎은 나선형으로 배열되는데 비늘 모양이고 가지에 바짝 붙어 있습니다. 반면에 옆 가지에 나는 잎은 옆으로 퍼지고 바늘 모양이며 2줄로 배열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아래쪽에 있는 큰 가지가 떨어져나가 깨끗한 원주 모양의 줄기만 남습니다. 나무를 자르면 자른 면 아래의 변재에서 싹이 나옵니다.
씨의 생성을 통해 자연적인 생식을 하나, 소수의 씨만 발아합니다. 수피(樹皮)는 곤충·곰팡이·불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붉은빛이 도는 갈색입니다. 또한 섬유성이며 골이 깊게 패였는데, 오래된 나무의 경우에는 그 두께가 30㎝ 이상이나 됩니다. 나무의 기부에 부피가 큰 판근(板根)을 만들고, 줄기에는 반구형의 옹이가 생기기도 합니다. 목재는 가구, 지붕널, 울타리 기둥, 판넬, 목공품, 일반 건축재 등에 쓰입니다. 줄기에서 잘라 낸 옹이로는 사발·쟁반·베니어 등을 만듭니다.
바오밥나무

높이 20m, 가슴높이둘레 10m, 퍼진 가지 길이 10m 정도로 원줄기는 술통처럼 생긴 세계에서도 큰 나무 중의 하나입니다. 아프리카에서는 신성한 나무 중 하나로 꼽고 있으며 구멍을 뚫고 사람이 살거나 시체를 매장하기도 합니다. 열매가 달려 있는 모양이 쥐가 달린 것같이 보이므로 죽은쥐나무(dead rat tree)라고도 합니다.잎은 5∼7개의 작은잎으로 된 손바닥 모양 겹잎입니다. 꽃은 흰색이며 지름 15cm 정도로 꽃잎은 5개입니다. 열매는 수세미외처럼 생겨서 길이 20∼30cm로 털이 있고 딱딱하며 긴 과경(果梗)이 있습니다.수피는 섬유이고, 잎과 가지는 사료로 사용하며 열매는 식용으로 쓰입니다. 수령이 5,000년에 달한다고 합니다. 바오밥나무의 학명은 이 나무를 발견한 프랑스의 식물학자 M. 아단송의 이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열대 아프리카에서 자랍니다.
반얀나무

쐐기풀목, 뽕나무과 고무나무속의 상록교목, 높이 30m 반얀나무 또는 벵골보리수라고도 합니다.잎은 큰 달걀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는 10~20cm, 열매는 잎겨드랑이에 쌍으로나며 지름 약 1.3cm. 공모양으로 익으면 빨갛게 됩니다. 열매는 식용하며, 잎은 코끼리의 사료로 쓰이는데 인도 등지에서는 접시 대용으로 쓰기도 합니다.이 나무는 가지를 길게 땅으로 뻗어내려 뿌리를 내리고 또 다른 나무줄기를 형성합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온 땅을 뒤덮게 됩니다. 완전히 자란 반얀나무 한 그루는 1200평을 뒤덮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반얀나무의 빽빽한 나뭇잎 밑에서는 어떤 것도 자랄 수가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반얀나무가 수명을 다하게 되어 죽게되면 그 나무가 덮고 있던 땅은 메마르고 황폐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나무의 일생은 종지부를 찍게 됩니다.반얀나무는 지표층이 얕은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뿌리가 약한 반얀나무는 쓰러지지 않기 위해 줄기에서 다시 땅으로 내려와 뿌리를 내리는 특이한 습성이 있습니다. 수백, 수천 갈래의 뿌리들이 줄기에서 땅으로 내려와 흙을 움켜쥐어야만 비로소 흔들리지 않는 나무가 되는 것입니다.
알비치아팔커타

13개월동안 약10.7m 자란다고 합니다. 1달에 약 82cm가 자라는 셈입니다. 성장이 느린 회양목과 비교하면 정말 놀라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무척 빨리 자라는 대나무는 이름은 나무지만 식물학적으로는 풀로 분류됩니다.)
타이가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을 동서로 펼쳐진 띠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는 침엽수림을 타이가(Taiga)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타이가는 원래 시베리아에서 툰드라의 남쪽에 접한 우랄산맥에서 오호츠크해에 이르는 침엽수 삼림 지대를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이게 모두 숲입니다.모스크바와 하바로프스크(북위 48° 30', 동경 135° 06')는 이 시베리아 삼림 지대의 대각선 끝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두 도시를 비행기로 여행하면 편도 8시간, 기차로는 약 일 주일이 걸린다고 합니다.
에온

가장 오래산 미국의 에온나무는 일명 해안붉은나무로도 불리며 최소 6,200년 이상 산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나무는 지난 1977년 죽었을때 76의 높이였습니다.
툴레

가장 뚱뚱한 멕시코 툴레 나무는 멕시코 오아하카 지역에 있는 나무로 둘레가 58m, 수령은 3,000년 정도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