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
-
-
-
-
-
담당자정보
-
부서 :
식품분석과
-
문의전화 :
043-220-5952
지난해 성과 평가 및 시사점
주요성과
- 유전자재조합 식품,신종유해물질 검사 확대
- 단백질자동분석기 등 4종 첨단장비 보강
- 식품분야 검사의 정확도 및 대외 신뢰도 향상 → 도민들에게 먹을거리 선택권과 알권리 제공
- 지역특산신품개발 분석 및 기술지원
- 산·연 공동협약체결 : 15개 업체
- 출시 신제품 : 영양맞춤발아혼합미 등 7종
- 개발 중인 제품 : 쌀된장 등 2종
- 개발지원 확대로 지역 업체의 제품 경쟁력 제고
- 취약사업장에 대한 악취 저감방안 기술지원
- 원인물질 조사 및 악취 처리효율 제고를 위한 방안 제시
- 청주시광역매립장 : 85% 악취저감
- 영동군 영도축산과 청주시 하수도 냄새 제로화 사업 지원
- 시험, 검사 처리기간 단축
- AIDS 확인진단 : 10일 → 3일(7일 단축)
- 수처리제 : 14일 → 12일(2일 단축)
- 대기,소음,진동검사 등 : 23일 → 17일(6일 단축) 악취문제 해결을 위한 맞춤형 행정서비스 제공
- 취약지역 영세가정 음용지하수 무료 수질검사
- 상수도 미 보급 농촌 지역 양수능력 1일 30톤 이하 지하수
- 조례개정으로 지속추진 법안 마련 ⇒ 주민의 경제적 부담 경감과 건강 보호
- 보건·환경 분양 정도관리 ’최우수기관선정’
- 보건 분야 : 질병관리본부, 식의약품안전청 주관
- 장내세균, 식품검사능력관리 등 16개 분야 20항목 실시
- 환경 분야 : 국립환경과학원 주관
- 대기, 수질, 먹는물, 폐기물 등 7개 분야 46항목 실시
- 국가공인시험기관으로서 분야별 시험검사 정확도 인증
반성과 시사점
- 먹는 물 감시항목 추가지정에 따른 사전준비 미흡
- 흙냄새, 곰팡이 냄새에 대한 먹는물 검사기준 강화
- 수돗물의 냄새유발물질(지오스민, 2-MIB) 검사장비 미확보
검사장비 보강으로 주민불편 해소
- 의약품 검정 민원업무 처리 어려움
- 약품업무 식의약청 이관(1996) → 약품분석과 폐지 → 시,도 환원(2003)
- 신규 제약 업체 급증으로 검정업무 폭증 장비 및 인력 등 검사시스템 보강 필요
2009년 비전 및 전략목표
도민 보건증진·청정환경 보전
5대 전략목표 18개 이행과제
-
효율적인
질병관리
- 감염병확인 검사 강화
- 주요 전염병 유행 예측
- 위해 미생물 중점관리
- 수련시설 식중독 예방 시스템 운영
-
식ㆍ의약품
안전증진
- 식의약품 안전검사 강화
- 농약 오염 우려식품 유통방지
- 신종유해물질 검사추진
-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
쾌적한
환경 조성
- 대기오염 측정망 강화
- 하천 수질 측정망 운영
- 소음 측정망 운영 내실화
- 토양 측정망 효과적 운영
-
생활환경
감시강화
- 대기 환경 적정 관리
- 수질 오염 감시 강화
- 먹는물의 철저한 수질관리
-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 강화
-
함께하는
도정구현
전략목표 추진계획
전략목표1 : 효율적인 질병관리
여건
- 신종 급성전염병 발생과 과거 사라졌던 전염병 재출현
-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 증가로 검사수요 다양화
- 집단급식 증가로 식중독 원인병원체 감시 강화 필요 → 효율적 관리시스템 구축으로 완벽한 방역체계 유지
성과목표
- 전염병 확인검사 강화
- 주요 전염병 유행예측
- 위해 미생물 중점 관리
- 수련시설 식중독 예방시스템 운영
전염병확인 검사강화
- 전염병 진단검사
- 에이즈 확진 검사기간 단축으로 신속 대응조치
- 신속 정확한 검사로 전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
- 계절별 검사수요 대처
- 여름철 병원, 백화점 등 대형 건물 냉각탑수 레지오넬라 검사
- 벌초, 산행, 추수 시 감염되는 가을철 발열성질환 적기 검사
주요전염병 유행예측
- 설사 및 호흡기질환 유행예측 조사
- 병·의원, 보건소 가검물 수집 병원체 분리
- 원인 병원체 역학자료 전국 공유 사전 유행 예측
- 독감의 유행예측, 예방백신 제조 기초자료 제공 및 활용
- 법정전염병균 검출 시 해당 보건소에 방역대책 강구
- 일본뇌염 유행예측 조사
- 청주시 외곽 우사 내 유문등 설치, 주 2회 채집 및 분류
- 일본뇌염 증폭숙주인 돼지혈액에서 항체가 검사
위해미생물 중점관리
- 식의약품 오염의 지표미생물 검사
- 유통 식의약품의 오염 지표미생물인 일반세균, 대장균 검사
- 집단급식 재료 및 조리식품, 계절 성수식품 식중독균 검사
- 수질오염 지표미생물 검사
- 생활용수, 농업용수, 오수, 폐수 등에 대한 오염도 검사
- 먹는물, 학교급수, 비상급수 등에 대한 수질미생물 검사
- 환경관리 지도·점검 자료 활용 및 수질오염 실태 파악
수련시설 식중독 예방 시스템운영
- 조리식품의 원인 병원체 점검
- 식수, 조리식품에 대한 식중독균 검사
- 수련시설 위생상태 조사, 식중독 발생 요소 제거
- 조리종사자에 의한 식중독 발생 원인 제거
- 식중독예방 교재 제작 및 현지 시설 점검 후 예방교육
- 조리 종사자에 대한 세균 및 바이러스 보균자 색출사업
- 보고서 작성, 결과 평가 및 지속적 환류 시스템 구축
- 집단급식시설 유행감시로 집단 식중독 발생 사전예방
전략목표2 : 식의약품 안전 증진
여건
- 멜라민 파동 등 식의약품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 고조
- 유전자재조합식품, 신종 유해물질 검사수요 증가
- 안전한 식품, 의약품, 농산물 검사로 도민 건강 보호
성과목표
- 식의약품 안전검사 강화
- 농약오염 우려식품 유통방지
- 신종 유해물질 검사 추진
-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수련시설 식중독 예방 시스템 운영
- 식의약품 안전검사 강화
- 유통식품 검사 및 영세업체 검사지원
- 의약품 등 최초수입에 따른 기준규격 검정
- 지역특산식품 제조업체 신제품개발 지원
- 업체에 필요한 맞춤형 기술 자문 및 성분검사 제공
-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신제품개발, 공정개선 및 품질관리 협력
농약오염 우려식품 유통방지
- 유통 농산물 신속수거 검사
- 대형 유통시장에 반입된 엽경채소류 신속분석
- 녹차제품 등에 대한 잔류농약 정밀검사
- 식품관련 유해물질 오·남용 사례수거 특별점검
- 횟집 등에서 사용하는 수족관물에 잔류하는 농약 검사
- 농약오염 우려식품에 대한 유해물질 유통 근절
- 유통 중인 농약오염 우려식품에 대한 안전성 확보
신종 유해물질 검사 추진
- 신종 유해물질 함유 식품 검사강화
- 식용유지류의 벤조피렌, 벌꿀 중 항생물질 등 사용 여부 검사
-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 등에 대한 정밀 분석
- 사회적 이슈가 되는 위해식품에 대한 중점 분석
- 튀김류 등 트랜스지방, 멜라민 검사
- 성분규격검사를 통한 가짜참기름 사용여부 판별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 유전자 재조합원료 사용식품 검사 역점 추진
- 콩, 옥수수, 사탕무 등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검사
- 유전자재조합식품 함유여부 및 허위표시 여부 자료 제공
- 신소재 및 신제조기법을 이용한 식품 검사 확대
- 클로렐라, 천연 식이섬유 등 신소재를 이용한 식품에 대한 검사
- 새로운 제조기법, 신기술 등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정밀분석
- 기능성소재 및 새로운 소재를 함유한 식품에 대한 검사
전략목표 3 : 쾌적한 환경조성
여건
- 지구온난화 등 급변하는 지구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 고조
- 환경오염 실태조사로 지속적인 환경정책 기초자료 확보 필요
- 도시 생활환경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성 증가
- 맑고 깨끗한 환경보전을 위한 환경정책 수립에 기여
성과목표
- 대기오염측정망 강화
- 하천 수질측정망 운영
- 소음측정망 운영 내실화
- 토양오염측정망 효과적 운영
대기오염 측정망 강화
- 도시 대기오염 상시측정
- 운영지역 : 대기측정망 8개소(청주 5, 충주 2, 제천 1)
- 측정내용 : 5분 간격 자동측정(CO, SO2, NO2, O3, PM-10)
- 측정자료 공유 및 활용
- 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 연계 자료 공유 및 전광판 전송
- 오존 및 황사 경보 발령 시 문자메시지 즉시 전송
하천 수질측정망 운영
- 공공수역 수질현황 측정
- 운영지역 : 32개소 (한강수계14, 금강수계13, 공단배수5)
- 측정내용 : 매월 1회 수질환경기준 38항목
- 측정자료 공표 및 활용
- 측정자료 대외 공표 및 수질오염총량제 기준자료로 활용
- 환경부 및 도·시·군에 수질보전 정책수립 근거자료로 제시
소음측정망 운영 내실화
- 도시 환경소음 측정
- 운영지역 : 도시지역 65개 지점(청주 35, 충주 15, 제천 15)
- 측정내용 : 분기별 1회 측정(낮시간대 4회, 밤시간대 2회)
- 측정자료 활용
토양오염측정망 효과적 운영
- 측정망 대상지역 오염도 조사
- 운영지역 : 154개 지점(공업지역 등 12개 지역) 년 1회 실시
- 토양오염 초과지역은 정밀조사 실시
- 오염실태조사 결과 효과적 활용
- 지역별 토양 오염상태 측정 적정 관리·보전 자료 활용
- 토양오염 초과지역의 방지사업을 위한 대책 및 방안 제시
- 환경부 및 도·시·군에 자료 제공 및 홈페이지 게재
전략목표 4 : 생활환경 감시 강화
여건
- 대기·수질 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적정관리 필요
-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물에 대한 주민욕구 증가
- 폐기물 등 생활환경 주변의 유해환경 오염물질 관리 필요
- 대기, 수질, 먹는물 및 폐기물 등의 적정관리로 환경보전
성과목표
- 대기환경 적정 관리
- 수질오염 감시강화
- 먹는물의 철저한 수질관리
-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 강화
대기환경 적정관리
- 대기배출시설 등 환경오염도 검사
- 민원제기, 지도점검, 개선명령 이행확인을 위한 검사
- 다중이용시설 적정 관리를 위한 실내공기질 검사
- 학교실험실 환경 안전관리 3개소 지원(신규)
- 초·중·고교생의 건강보호를 위한 유해물질 측정사
- 폐액·폐기물관리 및 실험실 안전관리 규정 확인
수질오염 감시강화
- 수질오염 유발물질 검사
- 공단, 공장밀집지역 주변 오염우심하천 수질검사
- 폐수, 하수, 상수원수 및 농업용수 등 수질기준 검사
- 기준초과 시 해당기관에서 관리대책 수립 및 행정조치
- 도내 유명계곡 피서철 수질검사(신규)
- 피서철(7월 ~ 8월말) 12개소 매주 1회, 8개 항목 분석
- 검사결과를 게시 피서객에게 깨끗한 휴식 공간 제공
- 더 많은 피서객이 찾아올 수 있는 행정서비스 제공재
먹는 물의 철저한 수질관리
- 먹는물 검사
- 약수터, 민방위급수, 학교급수, 지하수, 수돗물 등 수질검사
- 먹는샘물 원수·제품수 및 수처리제의 규격기준 검사
- 사회복지시설 음용지하수 무료검사(신규)
- 도내 사회복지시설(512개소)중 음용 지하수 이용 시설(154개소)
- 건강상 유해물질 등 먹는 물 수질기준 46개 전 항목 검사
- 먹는물로 인한 건강 보호 및 경제적인 부담 경감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강화
- 폐기물 등 유해물질,골프장 잔류 농약 검사
- 유해물질 함량검사로 일반 및 지정폐기물 구분
- 수질 보전을 위한 오수, 침출수 및 잔류농약 등 검사
- 도내 주요계곡 생태체험교실 운영(신규)사
- 도내 초·중학생 대상 수서곤충 및 어류 생태체험교실 운영
- 지역 유명계곡 수질 등급 파악 12개 시·군별 30명씩 편성
- 청소년들의 자발적 직접 체험을 통한 환경보전 의식 제고
전략목표 5 : 함께하는 도정구현
여건
- 주민 생활에 도움 되는 조사연구사업 필요성 대두
- 검사능력 기술교육과 학생 현장체험학습 제공 필요
- 신속·정확한 검사에 대한 고객 욕구 증대
- 새로운 정보 제공으로 도민에게 다가가는 행정 구현
성과목표
- 조사연구사업 추진
- 열린 연구원 운영
- 보건·환경 분야 전문 기술지원
- 도민과 함께하는 연구원 운영
조사연구사업 추진
- 보건분야
- 설사질환 병원체의 분포 및 특성연구
- 세균, 바이러스성 원인 병원체 분리 및 역학정보 분석 ⇒ 병원체 분리를 통한 도내 유행 실태 파악 및 예측
- 유통식품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조사연구
- 고온처리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궁금증 해소 ⇒ 규격기준 설정의 활용자료로 제공
- 환경분야
- 도시지역 생활공간별 부유세균 특성 연구
- 시간적, 공간적, 계절별 특성에 따른 부유세균 특성 조사 ⇒ 깨끗한 실내공기를 위한 효율적 관리방안제시
- 무심천 조깅로 운동여건 조사
- 조깅로에서의 계절별, 시간대별 대기질 상태 비교 조사 ⇒ 쾌적한 조깅로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사업장 폐수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농도 분포 조사
- 업종별 배출 농도 및 특성 파악 ⇒ VOCs 효율적 관리 및 적정처리를 위해 연구결과 제시
- 염소소독시 발생되는 THMS 생성 특성 연구
- 정수장별 염소 투입량 등에 따른 THMs 생성량 조사 ⇒ 유기물 함량에 따른 염소의 최적 투입조건 제시
- 매립장 주변 토양오염과 침출수에 관한 조사연구
- 도내 쓰레기매립장 12개소 대상 토양 오염 등 비교 조사 ⇒ 주민들의 환경오염 우려 해소 및 안정화 사업 자료 제공
열린 연구원 운영
- 내실있는 홈페이지 운영
- 시험결과 알림 SMS 등 대민 서비스 실행
- 보건·환경 관련 정보, 연구논문 등 편리한 정보검색 DB구축
- 도민생활과 밀접한 시책 사업에 대한 언론 홍보 확대
- 학생 실험실 견학 및 관련 전공 대학생 실험 실습 운영 분야별 정보 공유 등 열린 연구원 역할 제고
- 전문성 향상을 위한 동아리 운영
- 직무연찬, 교육, 연구사업 발표 등 자기역량 강화
- 8개 팀 운영으로 도민, 기업인을 직접 찾아가는 적극 행정 구현 다가가는 보건·환경 맞춤식 서비스 실현
- 분야별 정도관리 우수성 유지
- 보건 16분야 20항목, 환경 7분야 46항목 전 분야 "최우수"
- 국가공인시험기관으로서 분야별 우수성 지속 측정분석 능력평가 대외 신뢰도 제고
- 보건소,정수장 등 검사담당자 교육
- 장내세균, 수질분석 등 검사방법 교육
- 시험 검사장비 운영과 효율적인 시설관리 지도
주요 현안사업
연구원식축 공사
사업개요
- 기간 : 2007년 ~ 2010년
- 위치 : 오송생명과학단지내 30 -4블럭 (청원군 강외면 소재)
- 규모 : 부지 9,953㎡, 건축 5,637㎡(지상 3층, 지하 1층)
- 사업비 : 120억원
필요성 및 타당성
- 장비의 효율적 배치·활용을 위한 시설 현대화 필요성 대두
- 보건·환경 검사의 대민 만족도 향상
추진상황
- ’06. 9. : 청사이전 기본계획 수립
- ’06. 11. : 사업 투융자 심사 및 공유재산관리 계획 승인
- 면적 : 9,953㎡, 매입금액 : 1,488백만원 (조성원가)
- ’08. 6. : 청사 신축공사 위탁계약 (충북개발공사)
- ’08. 8. : 청사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 ’08. 9. : 청사 신축공사 착공(’08. 12월말 현재 공정율 11%)
향후계획
- ’09. 2. : ’09년도 공사 착수(동절기 공사중지 해제)
- ’09. 8. : 신축공사 골조공사 완료
- ’09. 10. : 특수가스 설비공사
- ’10. 3. : 청사완공
‘09년도 달라지는 제도·시책
무료 수질검사 확대 실시
현황
- 무료검사 대상
- 30톤 / 일 이하 음용 지하수 사용 영세가정
- 지하수를 식수로 공급하는 사회복지시설 154개소
- 시 기 : ’09. 1 ~ 12월
필요성
- 취약시설에 대한 먹는물 안전성 확보
- 사회복지시설 이용자의 건강상 위해 사전예방
- 소외된 주민 건강 보호와 경제적 혜택
향후계획
- 지하수 음용 대상시설 연중 계획에 의거 연차 실시
- 영세가정과 사회복지시설 등 수혜 대상 확대
기대효과
- 먹는물로 인한 안전성 확보로 수혜자 건강 보호
- 경제적인 부담 경감으로 대민 서비스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