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

담당자정보

  • 부서 : 식품분석과
  • 문의전화 : 043-220-5952

2009년도 성과평가 및 시사점

2009년도 성과평가

  • 신종플루 신속 검사체계 구축
    • RT-PCR 등 확진검사장비, 전문검사요원 확보
    • 신종인플루엔자 자체 확진검사 시행
      • 최신장비 보강으로 검사기간 단축
  • 수련시설 식중독 예방 시스템 운영
    • 보은군 지역 6개 수련시설 위생실태 조사
    • 조리 종사자에 대한 세균, 바이러스 보균자 색출
      • 예찰활동 강화로 식중독 발생 제로화 달성
  • 멜라민, 신종농약 등 신종유해물질 검사 확대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 질량분석기 등 2종 첨단장비 보강
    • 식의약품분야 검사 정확도 및 대외 신뢰도 향상
      •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로 도민 건강보호
  • 맞춤형 기업지원 사업 추진
    • 산·연 공동협약체결 : 15개 업체
    • 출시 신제품 : 저염김치 등 33종
    • 매출신장 및 수수료 감면 : 약 23억원 / 2천만원
      • 지역 식품제조업체 경쟁력 제고
  • 보건·환경분야 정도관리 "최우수" 기관 선정
    • 보건분야 : 미생물, 식품 등 16개분야 17항목
    • 환경분야 : 대기, 수질, 폐기물 등 7개분야 38항목
      • 국가공인시험기관으로 각 분야별 시험검사 정확도 인증
  • 사회복지시설 음용 지하수 무료검사
    • 지하수 음용 사회복지시설 155개소
    • 유해물질 등 먹는물 수질기준 46개 전 항목 검사
    • 부적합 시설 26개소 소독, 정수처리 후 재검사 실시
      • 사회복지시설 수용자 건강보호
  • ’보건·환경 119지원팀’ 운영
    • 법과 제도권 밖에 상존하는 생활민원 발굴
    • 보건·환경 분야 도민불편 애로사항 수렴 및 지원
      • 속리산 갈목리 하천오염 실태조사 외 26건 지원
        • 열린 행정서비스로 전국 제일의 보건환경연구원 운영
  • 감염병 진단, 의약품 검정업무 증가 대비 검사시스템 미흡
    • 신종질환 발생, 첨복단지 유치에 따른 업무증가 예상
    • 시험·분석 표준절차서(SOP) 마련 및 인력 장비 보강 필요

반성과 시사점

  •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적극 대응
  • 국제표준에 따른 시험분석으로 신뢰도 제고

2010년도 비전과 추진전략

도민 보건증진·청정환경 보전 5대 전략목표 18개 이행과제
  • 효율적인
    질병관리
    • 감염병확인 검사 강화
    • 주요 감염병 안전망 구축
    • 위해 미생물 중점관리
    • 학교급식시설 검사 지원
  • 식ㆍ의약품
    안전증진
    • 식의약품 안전검사
    • 유해물질 함유식품 유통근절
    • 신종유해물질 검사추진
    •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 쾌적한
    환경 조성
    • 대기오염 측정망 강화
    • 하천 수질 측정망 운영
    • 소음 측정망 운영 내실화
    • 토양 측정망 효과적 운영
  • 생활환경
    감시강화
    • 대기 환경 적정 관리
    • 수질 환경 감시 강화
    • 먹는물의 안전성 확보
    •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 강화
  • 함께하는
    도정구현
    • 조사연구사업 추진
    • 열린 연구원 운영

전략목표 추진계획

전략목표1 : 효율적인 질병관리

여건
  •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응체계 확립·유지 필요성 대두
  •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 증가로 검사수요 다양화
  • 해외유입 감염병 원인병원체 증가 추세
    • 감염병 원인병원체 조기 확진검사체계 강화 필요
이행과제
  • 감염병 확인검사 강화
  • 주요 전염병 안전망 구축
  • 위해 미생물 중점관리
  • 학교급식시설 검사지원(신규시책)
감염병 확인검사 강화
감염병 확인검사 강화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감염병 확인검사 건수 1,000 1,000 1,000 1,000 1,000
  • 감염병 진단검사 신속 처리
    • 에이즈, 신종플루 확진 검사기간 단축
    • 정확한 검사로 전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
  • 계절별 검사수요 능동적 대처
    • 병원, 백화점 등 대형 건물 냉각탑수 레지오넬라 검사
    • 벌초, 추수 시 감염되는 가을철 발열성질환 적기 검사
      • 계절별 유행전염병 조기진단을 통한 감염방지
주요 감염병 안전망 구축
주요 감염병 안전망 구축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병원체 수거 검사 건수 1,200 1,500 1,500 1,500 1,500
  • 설사 및 호흡기질환 유행예측 조사
    • 병·의원, 보건소 가검물 수집 원인 병원체 분리
    • 원인 병원체 규명을 통한 유행예측 및 확산방지
    • 인플루엔자 유행예측 조사, 백신균주 기초자료 제공
  • 쯔쯔가무시증 등 토착질환 감시강화(신규시책)
    • 지역 발병율이 높은 쯔쯔가무시증 중점검사
    • 일본뇌염모기 채집용 유문 등 오송지역 추가설치
    • 매주 2회 채집 질병 매개모기 분류(4~10월)
      • 법정전염병균 검출 시 해당 보건소에 방역대책 강구
위해 미생물 중점관리
위해 미생물 중점관리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위해 미생물 검사 건수 11,3200 11,500 12,000 12,000 12,000
  • 식의약품 오염의 지표미생물 검사
    • 유통 식의약품 일반세균, 대장균 검사
    • 집단급식 재료, 계절 성수식품 식중독균 검사
    • 수련시설 식중독 예방 보균자 색출검사
  • 수질오염 지표미생물 검사
    • 생활용수, 농업용수, 오수, 폐수 오염도 검사
    • 는물, 학교급수, 비상급수 수질미생물 검사
    • 환경관리 지도·점검 활용 자료 제시
학교급식시설 검사지원(신규시책)
학교급식시설 검사지원(신규시책)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대상시설수 - - - 120 120
  • 조리식품과 조리기구 위생세균 검사
    • 조리식품에 대한 식중독균 검사
    • 조리기구에 대한 위생세균 검사
  • 조리종사자에 대한 개인위생 검증
    • 조리 종사자에 대한 세균 및 바이러스 보균자 색출
    • 식중독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관리 홍보
      • 학교급식시설 위생관리 검증으로 집단 식중독 예방

전략목표2 : 식의약품 안전증진

여건
  • 멜라민 파동 등 식의약품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 고조
  • 유전자재조합식품, 신종 유해물질 검사수요 증가
    • 안전한 식품, 의약품, 농산물 검사로 도민 건강 보호
이행과제
  • 식의약품 안전검사
  • 유해물질 함유식품 유통근절(신규시책)
  • 신종 유해물질 검사 추진
  •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식의약품 안전검사
식의약품 안전검사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유통 식의약품검사 건수 2,650 3,100 3,150 2,900 3,000
  • 식품, 의약품 등 검사 역점 추진
    • 유통식품 및 영세식품 제조업체 자가 품질검사
    • 유통 및 최초수입 의약품등에 대한 기준규격 검정
    • 지역특산식품 제조업체 신제품개발 기술지원
  • 농약오염 우려식품 유통방지
    • 유통 농산물에 대한 신속 정밀검사
    • 녹차제품, 수족관물 등 잔류농약 검사
      • 유통 식의약품에 대한 철저한 검사로 안전성 확보
유해물질 함유식품 유통근절(신규시책)
유해물질 함유식품 유통근절(신규시책)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유해물질 함유식품 검사 건수 - - - 600 600
  • 다소비 500대 식품 집중 검사
    • 국민 다소비 식품에 대한 유해물질 검사
    • 건강 위해항목 중심으로 검사 강화
  • 유해물질 오·남용 사례 특별 점검
    • 식품에 오·남용되는 물질에 대한 검사
    • 색소, 보존료 등 합성첨가물 적정사용 여부
      • 위해요인 사전 발굴 및 유해물질 함유식품 유통 차단
신종 유해물질 검사 추진
신종 유해물질 검사 추진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신종 유해물질 검사 건수 - 100 120 125 130
  • 신종 유해물질 함유 식품 검사강화
    • 식용유지류 벤조피렌 등 함유 여부 검사
    •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 등에 대한 정밀 분석
  • 사회적 이슈가 되는 위해식품 중점 분석
    • 튀김류 등 트랜스지방, 멜라민 검사
    • 성분규격검사를 통한 가짜참기름 사용여부 판별
      • 사회적 관심도가 높은 식품 중점 검사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신소재식품 검사 건수 - 50 70 75 80
  • 유전자 재조합원료 사용식품 검사 역점 추진
    • 콩, 옥수수, 감자 등 유전자 재조합원료 사용 식품 검사
    • 도민들에게 먹을거리 선택권과 알권리 제공
  • 신소재 및 신 제조기법을 이용한 식품 검사 확대
    • 클로렐라, 천연 식이섬유 등 신소재를 이용한 식품에 대한 검사
    • 새로운 제조기법, 신기술 등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정밀분석
      • 유전자재조합 및 새로운 소재 함유식품 집중검사

전략목표 3 : 쾌적한 환경조성

여건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및 환경문제 대두
  • 인구 집중화로 생활환경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성 증대
  • 4대강 살리기 및 저탄소 녹색성장의 환경기초자료 제시
    •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을 위한 그린충북 건설에 기여
이행과제
  • 대기오염측정망 강화
  • 하천 수질측정망 운영
  • 소음측정망 운영 내실화
  • 토양측정망 효과적 운영
대기오염측정망 강화
대기오염측정망 강화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대기측정망 운영율 93 94 95 95 96
  • 도시 대기오염 상시측정
    • 운영지역 : 대기측정망 8개소(청주 5, 충주 2, 제천 1)
    • 측정내용 : 실시간 연속 자동측정(CO, SO2, NO2, O3, PM-10)
  • 측정자료 공유 및 활용
    • 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 연계 자료 공유 및 전광판 전송
    • 오존 및 황사 주의보·경보 발령 시 문자메시지 즉시 전송
      • 도시 대기질 개선을 위한 평가자료 제공
하천 수질측정망 운영
하천 수질측정망 운영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수질측정망지점수 35 32 32 32 32
  • 공공수역 수질현황 측정
    • 운영지역 : 32개소(한강수계 14, 금강수계 13, 공단배수 5)
    • 측정내용 : 매월 1회, 수질환경기준 42항목
  • 측정자료 공표 및 활용
    • 측정자료 대외 공표 및 수질오염총량제 기준자료로 활용
      • 관련기관 수질보전 정책수립 근거자료 제시
소음측정망 운영 내실화
소음측정망 운영 내실화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소음측정망 지점 수 65 65 65 65 65
  • 도시 환경소음 측정
    • 운영지역 : 도시지역 65개 지점(청주 35, 충주 15, 제천 15)
    • 측정내용 : 분기별 1회 측정(낮시간대 4회, 밤시간대 2회)
  • 측정자료 활용
    • 소음규제지역 설정 등 정온한 생활환경 조성 ⇒ 체계적 환경소음 실태 파악을 위한 상시측정
토양측정망 효과적 운영
토양측정망 효과적 운영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토양오염측정망 지점 수 154 154 154 154 154
  • 측정망 대상지역 오염도 조사
    • 운영지역 : 154개 지점 년 1회 실시(공업지역 등 12개 지역)
    • 토양오염 초과지역은 정밀조사 실시
  • 오염실태조사 결과 효과적 활용
    • 지역별 토양 오염상태 측정 적정 관리·보전 자료 제공
    • 토양오염 초과지역의 방지사업을 위한 대책 및 방안 제시
      • 환경부 및 도, 시·군에 자료 제공 및 홈페이지 게재

전략목표 4 : 크린환경 관리강화

여건
  • 대기·악취·폐수배출시설 오염물질 적정관리 필요
  •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안전한 먹는 물 요구 증가
  • 폐기물 등 생활환경 주변의 유해환경 오염물질 관리 필요
    • 대기, 수질, 먹는물 및 폐기물 등의 적정관리로 크린환경보전
이행과제
  • 대기환경 적정관리
  • 수질환경 검사확대
  • 먹는물의 안전성 확보
  •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 강화
대기환경 적정관리
대기환경 적정관리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대기환경검사 건수 2,510 2,590 2,590 2,610 2,610
  • 대기배출시설 등 환경오염도 검사
    • 대기, 악취, 소음진동 등 배출허용기준 준수여부 검사
    •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질 유지기준을 위한 검사
      • 오염물질 적정관리로 쾌적한 생활환경 유지
  • 오송 신도시 철도소음 영향조사 (신규시책)
    • 첨단의료복합단지 주거지역 조성으로 철도소음 민원예상
    • 지역소음 분포도 조사 및 기존 방음벽 효과분석 필요
      • 정온한 주거환경 조성에 기여
수질환경 검사확대
수질환경 검사확대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수질검사 건수 4,280 4,350 4,430 4,500 4,500
  • 수질오염 유발물질 검사
    • 공단, 공장밀집지역 주변 오염우심하천 수질검사
    • 폐수, 하수, 상수원수 및 농업용수 등 수질기준 검사
      • 기준초과 시 해당기관 관리대책 수립
  • 세계조정선수권대회 대비 탄금호 수질실태조사
    • 탄금호 및 주변 호소생활 환경기준 실태조사(2010년~2013년)
      • 성공적 국제행사 대비 탄금호 맑은물 유지관리
도내 유명계곡 피서철 수질검사
  • 피서철 도내 주요 계곡수 조사로 녹색생활환경 조성
    • 청정수질 관리 및 홍보를 통한 피서객 유입
먹는물의 안전성 확보
먹는물의 안전성 확보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먹는물 검사 건수 7,800 9,000 9,400 9,400 9,400
  • 먹는물 검사
    • 약수터, 민방위급수, 학교급수, 수돗물, 지하수 등 수질검사
    • 먹는샘물 원수·제품수 및 수처리제의 규격기준 검사
      • 음용 적합여부 판단으로 건강상 위해 방지
  • 먹는물 클리닉 서비스 운영 (신규시책)
    • 수질기준을 초과한 먹는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제공
    • 기준초과 항목의 위생학적 의미 및 적정 관리방안 제시
      • 먹는물 적정관리를 통한 주민 건강보호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강화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강화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유해 폐기물 검사 건수 2,970 3,200 3,230 3,260 3,300
  • 폐기물 등 유해물질, 골프장 잔류농약 검사
    • 유해물질 용출검사로 일반 및 지정폐기물 구분
    • 수질 보전을 위한 오수, 침출수 및 골프장 잔류농약 검사
      • 적정 유해물질처리로 환경오염예방
  • 실외골프연습장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기술지원
    • 제도권 밖에 있는 골프연습장 농약사용 검사 및 지도 필요
    • 골프연습장 13개소 대상 잔류농약 30항목, 년 2회 검사
      • 친환경 농약사용 유도로 청정환경 기여

전략목표 5 : 함께하는 도정구현

여건
  • 주민 생활과 밀접한 조사연구사업 필요
  • 보건·환경분야 기술교육과 현장학습 제공
  • 신속·정확한 검사에 대한 고객욕구 증대
    • 도민 편의를 위한 행정서비스 제공
이행과제
  • 조사연구사업 추진
  • 열린 연구원 운영
조사연구사업 추진
조사연구사업 추진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조사연구사업 생산 편수 7 7 7 7 7
  • Take-out 음료의 미생물 오염실태 조사
    • 휴게소 음료 및 자판기 음료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검사
      • 위생실태 파악 및 관리방안 제시
  • 농산물 잔류농약 동시다성분 분석에 관한 조사
    • 도시대기측정망을 이용한 실태변화와 특성조사
      • 청정한 대기환경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도내 자연휴양림 피톤치드 분포 특성 연구
    • 휴양림 수목에서 방출되는 피톤치드 성분조사
      • 효과적인 삼림욕 제시로 이용자 건강증진 도모
  • 산업단지 주변 하천 생태독성에 관한 조사
    • 하천 생태독성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 조사
      • 생물학적인 통합독성방법 평가 기초자료 확보
  • 수돗물 생산과정에서 미네랄 성분의 변화 연구
    • 정수과정에서 수질변화와 미네랄 함량 분포 평가
      • 소비자가 믿을 수 있는 수돗물 생산 기초자료 제공
  • 도내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 공법별 특성연구
    •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 운영실태, 처리공법별 비교평가
      • 수질오염총량제 실시에 따른 수질오염원 저감 및 운영자료 제공
  • 먹는샘물의 보관방법에 따른 수질변화 연구
    • 보관상태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성분, 탁도변화 연구
      • 소비자 건강보호 및 먹는샘물 품질관리 강화
  • 황토가 농산물 특화에 미치는 유효성분조사
    • 황토와 농산물(대추, 사과)의 주화학성분 등 비교 분석
      • 황토농산물의 과학적 우수성 홍보로 상품효과 극대화
열린 연구원 운영
열린 연구원 운영 - 성과지표, 목표값(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성과지표 목표값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보건환경 119지원 건수 - - - 30 30
  • 보건환경 119지원팀 운영 확대
    • 제도권 밖의 민원 발생 시 신속한 현장중심의 민원해결
    • 전문 분야별 5개반 운영 지원
      • 전국 제일의 보건환경 서비스 구현
  • 분야별 정도관리 4년연속 "최우수" 유지
    • 보건 16분야 20항목, 환경 7분야 46항목 전 분야
    • 국가공인시험기관으로서 분야별 우수성 지속
      • 측정분석 능력평가 대외 신뢰도 제고
  • 식품제조업체 실험실 현장 기술지도(신규시책)
    • 영세 및 희망 제조업소 대상
    • 본원의 축적된 기술 활용 현지 1:1 맞춤식 기술지도
      • 영세제조업소의 고충 해결 및 제품 경쟁력 제고
  • 중소 수질측정 대행업체 기술지원(신규시책)
    •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과 기기분석 운영방법 컨설팅
    • 검사결과에 대한 해석방법 등의 기술지원
      • 분석기술능력 향상으로 정확성과 신뢰성 제고
  • 보건소, 정수장 등 검사담당자 교육
    • 장내세균, 수질분석 등 검사방법 교육
    • 시험 검사장비 운영과 효율적인 시설관리 지도
      • 시험·검사 능력배양과 검사장비 운용기술 향상
  •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배출업소 컨설팅(신규시책)
    • 수질오염 방지시설 배출업소에 대한 기술지원
    • 효율적인 환경시설 개선방안 제시
      • 최적 운영 지원으로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감축
  • 1과 1녹색생활 지킴이 지정·운영(신규시책)
    • 과별 녹색생활 지킴이를 1명씩 지정(10. 1월)
    • 그린데이 월별 중점과제, 부서별 자율과제 이행실태 점검
      • 녹색생활 실천운동의 효율적 이행 및 추진력 제고

주요 현안사업

연구원식축 공사

사업개요
  • 기 간 : 2008 ~ 2010(3년간)
  • 위 치 : 오송생명과학단지내 30-4블럭(청원군 강외면 소재)
  • 규 모 : 부지 9,953㎡, 건축 5,637㎡(지상 3층, 지하 1층)
  • 사 업 비 : 120억원(도비)
추진상황
  • ’06. 9. : 청사이전 기본계획 수립
  • ’06. 11. : 사업 투융자 심사 및 공유재산관리 계획 승인
  • ’07. 10. : 청사이전부지 매입계약 체결 (한국토지공사)
  • ’08. 6. : 청사 신축공사 위탁계약 (충북개발공사)
  • ’08. 8. : 청사 기본 및 실시설계(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 ’08. 9. : 청사 신축공사 착공(동우건설외 3개사)
  • ’09. 12. : 내부인테리어 및 마감공사(공정률 93.4%)
향후계획
  • ’10. 1. : 인테리어 마무리, 도장공사
  • ’10. 3. : 청사완공
  • ’10. 4. : 연구원 이전
    • (준공식 ’10. 6월 예정)

2010년도 달라지는 제도·시책

국민다소비 500대 식품 검사 확대

  • 09. 10월 식약청에서 수행하던 식품 검사업무 연구원 이양
  • 다소비 식품 중 건강 위해항목 검사 강화

유통의약품등 검정업무 이관(☞ 1.1시행)

  • 특별행정기관 정비(09.6.11)에 따른 이양
  • 지방청에서 수행하던 의약외품, 화장품 등 검정 업무 증가

하천 생활환경기준 확대 적용(☞ 1.1시행)

  •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추가 적용
  • 관리지표 항목 :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인(T-P)

저황유 함유량 중질유 사용지역 확대(☞ 7.1시행)

  • 충주시, 제천시 : 0.5% → 0.3%이하
  • 청원군, 증평군, 진천군, 음성군 : 1.0% → 0.5%이하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강화(☞ 1.1시행)

  • 기존 배출시설 황산화물, 중금속 등 15항목
  • 시멘트 사업장 소성시설 납, 카드뮴 등 중금속
  • 화장장 화장로 대기배출시설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