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도 성과평가 및 시사점
16년도 성과평가 및 시사점
잘된 점
- 해외유입감염병 신속·정확한 검사 시스템 가동
- 메르스,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등 신종감염병 검사 시스템 구축 및 검사결과 신속 통보
- 미세먼지경보제 조기 정착
- 청주, 충주, 제천지역 미세먼지경보제 운영
- 미세먼지 경보 발령시 24시간 상황실 운영을 통한 실시간 대기오염도 자료 공개 및 문자 전송으로 도민 건강보호
- 대기오염자동측정소 운영예산 절감
- 대기오염자동측정소 측정자료 전송방식변경(KT⇒행정정보통신망)
- 전용회선 사용료 절감(2500만원/년 ⇒ 600만원/년)
- 열린 행정 구현으로 도민 만족도 제고
- 농촌지역 초등학교 찾아가는 어린이과학체험교실(12회, 248명)
- 보건환경 시험분석 마이스터 아카데미 운영(7개대학 전공자, 59명)
- 보건·환경 분야별 검사 신뢰도 평가결과 우수기관 유지
- 감염병원인균 규명 및 식의약품·환경오염물질 분석 검사능력 23분야 72항목 평가결과 9년 연속 우수
미흡한 점
- 신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 미세먼지, 석면 등 환경오염물질 지속적 증가에 따른 원활한 검사업무 추진을 위한 인력확보 미흡
시사점
- 각종 감염병 증가, 미세먼지 경보제 상시운영, 빛공해 및 석면 등 생활환경 위해 요소 증가에 따른 전담조직 확충 필요
‘17년도 비전과 추진전략
도민 보건증진·쾌적한 환경조성
5대 전략목표 18개 이행과제
-
신속한
감염병 관리
- 감염병 신속진단 및 확산방지
- 감염병 감시망 구축 및 운영
- 고위험병원체 진단체계 확립
- 식의약품 미생물검사
-
식ㆍ의약품
안전증진
- 식품 안전성 검사
- 유해물질 안전관리사업
- 의약품, 화장품 등 품질검정
- 농·수산물 유해 잔류물질 검사
-
쾌적한
대기환경 보전
- 대기측정망 운영강화
- 도시 소음측정망 운영
- 대기배출시설 오염도 검사
- 실내공기질 및 소음·진동 검사
-
청정한
물환경 조성
- 공공수역 수질 실태 조사
- 폐수 및 환경 기초시설 오염도 검사
- 먹는물 안전성 확보
- 사업장 발생 폐기물 등 검사관리 강화
-
함께하는
열린연구원 운영
- 보건·환경 분야 조사연구사업 추진
- 열린행정 만족도 제고
전략목표 추진계획
신속한 감염병 관리
여건
- 기후 변화와 해외교류 증가에 따른 신종 감염병의 국내 유입 및 재출현 감염병 증가 추세
- 해외유입 감염병 토착화 방지를 위한 진단 및 감시 체계 강화 필요성 대두
- 집단급식 실시에 따라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유행예측을 위한 식중독 원인병원체 진단검사 강화 필요
강조감염병 사전 예측 및 신속진단 시스템 운영
이행과제
- 감염병 신속진단 및 확산 방지
- 감염병 감시망 구축 및 운영
- 고위험병원체 진단체계 확립
- 식의약품 미생물 검사
감염병 신속진단 및 확산 방지
- 감염병 원인 병원체 확인검사
- HIV, 브루셀라 등 면역 혈청 검사 및 확진검사 : 260건
- 식중독 발생시 원인균 및 독소유전자 신속검사 : 430건
- 계절별 검사수요 능동적 대처
- 병원, 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 레지오넬라균 검사 : 650건
- SFTS 및 가을철 주로 감염되는 발열성질환 검사 : 30건
감염병 감시망 구축 및 운영
- 급성설사질환 및 호흡기질환 실험실 감시사업
- 설사질환,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 검사 : 1,020건
- 원인 병원체 감시자료 공유 및 사전 유행 예측
- 일본뇌염 유행예측 조사
- 일본뇌염 매개모기 채집 및 밀도 조사(4~10월) : 60회
고위험병원체 진단 체계 확립
- 고위험병원체 중점 검사
- 메르스, 잠복결핵, 조류인플루엔자 등 감염병 검사 : 3,200건
- 고위험병원체 진단시스템(BL3) 24시간 운영
- 해외유입 신종감염병 검사시스템 운영
-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검사 : 100건
- 도내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선제적 검사시스템 구축
식의약품 미생물 검사
- 식의약품 안전성 강화
- 식품 및 의약품 등 미생물 오염도 검사 : 1,270건
- 콩콩, 옥수수 등 유전자 변형식품 검사 : 100건
- 유해물질 안전관리 사업 식품미생물 검사
- 식품유형별 저위해 식중독균 오염도조사 : 250건
- 황색포도상구균 등 4종 정량검사 및 기준규격 검사
식의약품 안전 증진
여건
- 식생활의 서구화 및 신종 유해물질 유입으로 식품의 생산·유통단계에서 위해요인 사전예방관리 강화
- 국가간 자유무역협정 확대로 의약품 등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유해 불량제품 유통 사전 차단
-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부적합 이력 및 오염우려 농·수산물에 대한 선제적 안전관리 필요
강조신속·정확한 식품, 의약품, 농수산물 검사로 도민 건강 보호
이행과제
- 식품 안전성 검사
- 유해물질 안전관리사업
- 의약품, 화장품 등 품질 검정
- 농수산물 유해 잔류물질 검사
식품 안전성 검사
- 유통식품의 안전 관리체계 구축
- 다소비· 위해우려 식품에 대한 정밀 분석 : 2,300건
- 영세 제조업소 자가품질 검사 : 100건
- 먹거리 위해성 선행적 관리
- 명절 대비 제수용품 및 성수식품 검사 : 200건
- 학교 급식소 및 청소년 수련시설 식중독 예방 검사 : 100건
- 계절별 위해요인 특별 점검에 따른 검사 : 200건
유해물질 안전관리사업
- 유해오염물질 재평가 사업
- 기준· 규격 재평가를 위한 유해오염물질 검사 : 240건
- 신종 유해물질 함유식품 검사
- 방사능 물질, 식용유지류 벤조피렌 등 정밀 분석 : 160건
- 농수산물 유해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 검사 : 150건
- 농산물도매시장 유통농산물 중금속 및 방사능 검사 : 80건
의약품, 화장품 등 품질 검정
- 의약품 등 품질 검정 강화
- 유통 의약품 등 품질 검정을 위한 수시검사 : 30건
- 최초 수입 의약품 등 유통 전 규격기준 검정 : 10건
- 화장품 및 한약재 안전성 검사
- 화장품의 기능성 성분 및 유해 중금속 검사 : 50건
- 한약재 잔류농약 및 유해물질 등 안전성 검사 : 40건
농수산물 유해 잔류물질 검사
- 농산물 잔류농약 안전성 검사
- 부적합 이력이 많은 농산물 중점 수거 검사 : 180건
- 계절 성수 농산물 기획 수거 검사 : 80건
- 영세식품제조업체 농산물 잔류농약 무료검사 지원 : 20개소
- 유통 수산물의 잔류 동물용의약품 검사
- 오염우려 수산물 선제적 안전관리 검사 : 10건
- 양식어종 등 다빈도 부적합 수산물 기획 검사 : 10건
쾌적한 대기환경 보전
여건
- 중국 대기오염물질의 국내유입으로 미세먼지 농도 증가와 유해화학물질 과다사용으로 대기환경 상태 악화
- 삶의 질 향상으로 쾌적하고 정온한 사회적 환경욕구 증가
- 대기, 악취, 실내공기질, 소음· 진동 등 민원발생에 따른 오염도 개선을 위한 지속적 관리 강화 필요
강조과학적 관리로 쾌적하고 안전한 대기환경 조성
이행과제
- 대기오염측정망 운영 강화
- 도시 소음측정망 운영
- 대기배출시설 오염도 검사
- 실내공기질 및 소음· 진동 검사
대기오염측정망 운영 강화
- 대기오염측정망 운영
- 대기측정망 운영 : 12개소/미세먼지 등 6항목 실시간 자동측정
- 도시대기 11개소(청주5,충주2,제천1,진천1,단양1,옥천1), 도로변대기 1개소(청주)
- 대기중금속측정망 운영 : 2개소(청주,단양)/납, 카드뮴 등 9항목 검사
- 대기오염자동측정소 장비 교체 : 180백만원
- 측정자료 활용
- 대기오염도 실시간 자료 홈페이지 공개 및 대기전광판 자료 전송
- 대기오염 경보제(미세먼지, 오존) 상황실 운영 : 24시간 상시
도시 소음측정망 운영
- 도시 소음도 측정
- 운영지역 : 도내 65개 지점(청주 35, 충주 15, 제천 15)
- 측정방법 : 매분기 1회 측정(주간 4회, 야간 2회)
- 측정자료 활용
- 도시지역별 연간 소음실태 체계적 파악 : 4회 (분기별)
- 소음도 자료 홈페이지 및 국가소음정보시스템에 공개
대기배출시설 오염도 검사
- 대기오염도 검사
-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배출허용기준 검사 : 200개소
- 저황유 공급·사용지역의 유류 중 황 함유량 검사 : 300건
- 악취 저감을 위한 오염도 검사
- 악취민원 발생 사업장의 배출허용기준 검사 : 200건
실내공기질 및 소음·진동 검사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검사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적합여부 검사 : 80건
- 일정규모 이상 대합실, 의료기관, 어린이집 등 대상
- 사회취약계층 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검사 : 30건
- 사회복지시설, 어린이집, 경노당 등(검사의무대상 제외시설)
- 소음·진동 검사
- 공장 소음·진동 배출시설 적합여부 검사 : 10건
청정한 물환경 조성
여건
- 공장 폐수 및 생활 오하수, 폐기물 매립 등으로 수질 및 토양의 환경오염 확대와 검사수요 증대
- 먹는물 수질관리 강화 및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 유해화학물질 사용량 증가로 하천 수질 오염 가중
강조폐수, 하천수, 먹는물, 폐기물 효율적 관리로 청정환경 보전
이행과제
- 공공수역 수질실태 조사
- 폐수 및 환경기초시설 오염도 검사
- 먹는물 안전성 확보
- 사업장 발생 폐기물 등 검사관리 강화
공공수역 수질실태 조사
- 물환경측정망
- 하천 등 공공수역에 대한 수질 오염도 조사 : 33개소
- 월1회 수질환경기준 27항목 검사/물 환경개선 정책수립 기초자료 제공
- 오염우심지역 등 하천 수질 검사
- 공단·공장 밀집지역 주변 하천 수질 실태조사 : 1,145건
-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하천수 및 호소수 검사 : 100건
- 피서철 도내 주요 물놀이지역 수질검사(주요계곡) : 36건
- 6~8월 / 검사결과 안내(현수막·안내표지판) 및 이용객 건강보호
-
폐수 및 환경기초시설 오염도 검사
- 사업장 폐수 오염도 검사
- 사업장 폐수 배출허용기준 적합 여부 수질검사 : 750건
- 배출시설 설치후 가동시작 신고 및 지도점검을 위한 검사결과 제공
- 하수 등 환경기초시설 오염도 검사
- 공공하수처리장 유입수 및 방류수 수질기준 검사 : 1,200건
- 오수 및 축산분뇨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검사 : 900건
- 방류수 수질기준 지도점검 및 시설별 처리효율 확인을 위한 자료 제공
먹는물 안전성 확보
- 먹는물 검사
- 학교급수, 상수 원·정수, 민방위 비상급수 등 수질검사 : 2,950건
- 먹는샘물 원수 및 유통중인 제품수 수질검사 : 350건
- 지하수 등 검사
- 생활·농업·공업 및 어업용수 등 지하수 수질검사 : 600건
- 하천수, 폐수, 하수, 침출수 등 수질미생물 검사 : 3,000건
- 물놀이형 바닥분수에 대한 수질안전성 조사 : 60건 (신규)
- 5~8월 / 바닥분수 수질 건강위해요소 사전차단으로 이용객 건강보호
사업장 발생 폐기물 등 검사관리 강화
- 폐기물, 매립장 침출수 및 토양오염도 검사
- 사업장 발생 폐기물 오염도 검사 : 500건
- 쓰레기매립시설 및 폐기물 보관시설 침출수 검사 : 250건
- 토양 오염지역 발견 및 민원발생 토양오염도검사 : 200건
- 다중이용시설인 수영장수, 목욕수 및 온천수 수질검사 : 250건
- 골프장 농약잔류량 검사
- 골프장 유출수, 토양의 농약 잔류량 검사 : 650건
- 연 2회 실시(4~6월, 7~9월 중) / 고독성 등 기준항목 28종
함께하는 열린 연구원 운영
여건
- 주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조사연구사업 필요
- 보건·환경분야 전문기술 교육 및 기술지원 제공
- 민원 신속 처리 등 연구원 역할에 대한 고객욕구 증대
강조도민 감동을 위한 친절 서비스 제공
이행과제
- 보건·환경 분야 조사연구사업 추진
- 열린 행정 만족도 제고
보건·환경 분야 조사연구사업 추진
- 즉석섭취 식품류에 대한 미생물오염도 조사연구
- 즉석섭취식품의 미생물오염도 조사로 도민 건강보호
- 청소년 다소비 음료와 빙과류에 대한 카페인 함량조사
- 카페인 함량 조사로 도민 알권리 충족 및 기초 자료제공
- 유통 양식어류의 항생물질 잔류실태 조사
- 동물용의약품 잔류실태조사로 위생관리 기초자료 제공
- 충북지역 대기중 미세먼지(PM2.5) 특성 연구
- 미세먼지 성분 및 특성파악으로 오염원의 신속한 추적으로 도민 건강보호
- 매립지 표면 적외선 열화상 변화에 따른 매립가스 누출 평가
- 열화상 변화를 이용, 신속한 누출부위 파악하여 악취민원 해소
- 폐수중 총유기탄소(TOC)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CODMn과 TOC의 환산비를 통한 TOC 배출허용기준 제정을 위한 자료 확보
- 도내 약수터 평가 및 건강지도 작성
- 약수터 수질정보 제공 및 평가지표 비교로 TOP10 선정
- 도내 매립장 침출수 발생특성 연구
- 매립장별 침출수 발생량 및 성분분석을 통한 관리방안 제시
열린 행정 만족도 제고
- 찾아가는 어린이 과학체험교실 운영
- 농촌지역 초등학교 방문 맞춤형 과학체험프로그램 실시(연 8회)
- 도내 농촌지역 초등학생에게 양질의 과학체험교육 기회 제공
- 영세식품제조업체 농산물 잔류농약 무료검사 지원 (현안)
- 배추, 무 등 농산물 원료 영세식품제조업체 잔류농약 검사
- 영세 식품제조업체 상품 경쟁력 제고 및 검사비용 절감
- 사회취약계층 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검사 (신규)
- 법과 제도권에서 제외된 복지시설의 실내공기질 검사 필요
- 노약자 보호시설에 대한 안전성 점검 필요
- 세종시 보건·환경 검사업무 위·수탁 추진
- 세종시 식품·의약품, 감염병, 대기·수질 등 검사업무 전반 수탁
- 세종특별자치시 보건환경연구원 신설(2018년 예정)
- 환경기초시설, 정수장 수질검사 담당자 교육 운영
- 수질검사장비 운용 및 시험방법 교육으로 분석능력 향상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 학생들의 꿈과 끼를 찾고, 진로체험활동 교육기회 제공(9~12월)
- 자유학기제 중학생의 보건·환경분야 실험실 견학 및 체험
주요 현안사업
미세먼지경보제 확대 시행
사업개요
- 미세먼지(PM10, PM2.5) 농도 실시간 모니터링 및 주의보·경보 발령
- 도시대기측정소 신규설치(옥천, 진천)에 따른 측정지역 확대
필요성
- 도민 건강보호를 위한 미세먼지 측정지역 확대 시행
- 미세먼지 농도의 실시간 자료공개로 주민 대처능력 제고
-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분류
추진계획
- 시행 : 2017. 1. 1.
- 대상 : 현행(3개시, 청주, 충주, 제천) → 확대(2개 권역, 11개 시군)
- 1권역(충주, 제천, 괴산, 음성, 단양) / 2권역(청주, 보은, 옥천, 영동, 증평, 진천)
- 보은·괴산·음성군 지역은 향후 대기측정소 설치 후 적용
- 미세먼지 경보제 운영 : 도시대기측정소(11개소)
- 미세먼지 24시간 상시 감시 및 실시간 농도 공개
- 미세먼지 알림서비스 확대(옥천, 영동, 증평, 진천, 단양) 시행
기대효과
- 대기오염 정보 확대 제공으로 도민 건강보호
- 미세먼지경보제 확대 시행으로 행정서비스 만족도 향상
영세식품제조업체 농산물 잔류농약 무료검사 지원
사업개요
- 영세한 식품제조업체 비용경감을 위한 주원료 무료검사 지원
- 주원료 농산물의 잔류농약검사로 상품성 제고 및 안전성 강화
필요성
- 업체의 영세성으로 고비용의 잔류농약 검사시설 미비
- 잔류농약검사를 위한 고액의 검사비용으로 인한 생산원가 부담
추진계획
- 대상업체 추천 : ‘17. 1~2월
- 방 법 : 시·군 의뢰 업체 추천 (1 ~ 2개 업체 / 시·군 )
- 제조업체 현장방문 실태파악 및 업체 선정 : ‘17. 3~4월
- 생산제품 및 원재료 농산물 등 기초 조사
- 사 업 량 : 20여개 업체 (배추, 무 등 농산물 100 여건)
- 사업시행 : ‘17. 4~12월
- 검사항목 : 식품공전의 동시다성분 분석법 대상 농약 210여종
기대효과
- 식품 원재료의 검사기능 강화를 통한 품질 개선 및 향상
- 식품제조업체 검사업무 및 경비절감에 따른 경쟁력 제고
- 경비절감 : 57,780,000 원 (577,800 원 * 100 건) 검사비용 절감 예상
‘17년도 달라지는 제도․시책
식품분야 관련법 개정
- 식품, 식품/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설정 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85호) 2016년 8월23일
- 식품과 축산물가공품의 기준·규격 통합 (식의약품안전처 공고 제2016-294호) 2016년 8월02일
농산물 중 잔류농약 검사항목 확대
- 식품의약품안전처 공고 제2016-7호(행정예고)
- 농산물잔류농약 잔류허용기준 및 관련 시험법 개정
- 도내 유통농산물의 검사항목 230여종으로 확대
『수질오염물질 지정 등에 관한 지침』제정 시행
- 총유기탄소(TOC) 등 7종 감시항목 지정 및 시행(`17. 1월)
물놀이형 수경시설 신고제 시행
- 공공기관 및 사설기관 운영 설치된 수경시설 신고제 도입
- 수질 기준 및 관리 기준 준수 법제화(`17.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