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
-
-
-
-
-
담당자정보
-
부서 :
식품분석과
-
문의전화 :
043-220-5952
2011년도 성과평가 및 시사점
2011년도 성과평가
잘된 점
- 첨단시설 보강으로 감염병 예방
- 생물안전밀폐실험실(BL3) 설치로 고위험병원체 검사 대비
- 지하수 노로바이러스 검사시스템 구축으로 식중독 예방
- 신규 검사 시스템 구축으로 검사 욕구 충족
- `12. 생태독성관리제도 확대 대비 안정적 운영 기반 확충
- 석면분석시스템 신설에 따른 석면 위해성 검사 실시
- 대기오염측정망 확대 및 운영 강화
- 단양군 매포읍 대기오염측정소 신설 (총 10개소 운영)
- 2년 연속 정부합동평가 대기질 실시간전송율『가』등급 달성
- 행정수요 적극 대처로 만족도 제고
-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매립장 악취관리지원
- 구제역 매몰지 모니터링 실시로 오염 확산 방지
- 도민과 함께하는 보건환경 열린 행정서비스 구현
- 법과 제도권 밖의 민원해결을 위한「보건·환경 119지원팀」운영
- 식의약품검사 분야 외부청렴도 전국 1위
- 농촌 등 취약지역 주민을 위한 지하음용수 무료검사제공
미흡한 점
- 감염병 진단, 의약품 검정업무 증가 대비 검사시스템 미흡
- 신종질환 발생, 첨복단지 조성에 따른 의약품 관련 업무증가 예상
- 시험·분석 표준절차서(SOP) 마련 및 인력 장비 보강 필요
시사점
- 법정감염병 진단, 식의약품 검사 업무 지방이양 점차 확대
- 선진 의료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의약품등 검정 전담부서 설치
2012년 비전 - 전략체계도
도민 보건증진·청정환경 보전
5대 전략목표 18개 이행과제
-
효율적인
질병관리
- 감염병확인 검사 강화
- 주요 감염병 안전망 구축
- 위해 미생물 중점관리
- 감염병 검사 확대
-
식ㆍ의약품
안전증진
- 식의약품 안전검사
- 유해물질 함유식품 유통근절
- 신종유해물질 검사추진
-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
깨끗한
대기환경 조성
- 대기측정망 강화
- 대기환경 적정 관리
- 도시소음 측정망 운영
- 쾌적한 생활환경관리
-
안전한
물환경 보전
- 수질 및 토양 측정망 운영
- 수질 환경 관리 강화
- 먹는물 안전성 확보
-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 강화
-
함께하는
열린연구원 운영
전략목표 추진계획
전략목표1 : 효율적인 질병관리
여건
- 해외유입 감염병 원인병원체 증가추세
-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 증가로 검사수요 다양화
- 신종감염병, 생물테러 대응체계 확립·유지 필요성 대두
이행과제
- 감염병 확인검사 강화
- 주요 감염병 안전망 구축
- 위해 미생물 중점관리
- 감염병 검사확대
감염병 확인검사 강화
- 감염병 진단검사 강화
- HIV, 매독, 결핵 등 면역학적 혈청 검사
- 유전자 및 미생물 배양 등 감염병 확진검사
- 계절별 검사수요 능동적 대처
- 병원, 백화점 등 냉각탑수, 분수대 레지오넬라 검사
- 벌초, 추수 시 감염되는 가을철 발열성질환 적기 검사
주요 감염병 안전망 구축
- 설사 및 호흡기질환 유행예측 조사
- 병·의원, 보건소 가검물 수집 원인 병원체 분리
- 원인 병원체 역학자료 전국 공유 사전 유행 예측
- 일본뇌염 유행예측 조사
- 유문등 설치(청원군강외면), 주 2회 채집 및 분류
- 돼지, 닭 혈액을 이용한 항체가 검사로 유행 유형파악
위해 미생물 중점관리
- 식의약품 오염미생물 검사
- 유통 식의약품, 계절 성수식품 식중독균 검사
- 학교 급식시설 식중독 안전성 검사
- 수질오염 지표미생물 검사
- 생활용수, 폐수, 하수, 침출수 오염도 검사
- 먹는물, 학교급수, 비상급수 수질미생물 검사
감염병 검사 확대
- 생물안전3등급연구시설(BL3) 운영(신규)
- 결핵 배양검사 등 감염병 검사업무 지방이양 확대
- 생물테러 대비 등 지역거점 검사시설 확충
- 지하수 중 노로바이러스 검사(신규)
- 지하수 음용 급식시설 등 40개소, 오염 여부 실태조사
-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원인균 판명 시 지하수 검사
전략목표2 : 식의약품 안전증진
여건
- 식품 및 의약품, 농산물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 고조
- 신종농약, 부정유해물질, 신소재식품 등 검사수요 증가
- 선진의료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의약품등 검사기능 보강 필요
- 신속·정확한 식품, 의약품, 농산물 검사로 도민 건강 보호
이행과제
- 식의약품 안전검사
- 유해물질 함유식품 유통근절
- 신종 유해물질 검사 추진
-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식의약품 안전검사
- 식품, 의약품 등 검사 역점 추진
- 다소비 유통식품 규격기준 검사
- 유통화장품 및 최초수입의약품등에 대한 기준규격 검정
- 식약청과 연계하여 식품위생검사기관 검사업무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하여 마련한 우수시험검사기관 운영시스템 (가칭’Osong LaQAS) 도입
- 농약오염 우려식품 유통방지
- 유통 농산물에 대한 신속 정밀검사
- 검출빈도 높은 잔류농약 항목 집중 검사
- 유통 식의약품에 대한 철저한 검사로 안전성 확보
유해물질 함유식품 유통근절
- 다소비 식품 곰팡이 독소 집중 검사
- 국민 다소비 식품에 대한 곰팡이 독소 8종 검사
- 건강 위해항목 중심으로 검사 강화
- 위해요소 함유식품 중점 분석
- 표백제, 인공감미료 등 합성첨가물 적정사용 여부
- 소비자 관심도가 높은 식품 중점검사
신종 유해물질 검사 추진
- 신종 유해물질 함유 식품 검사강화
- 식용유지류 벤조피렌 등 함유 여부 검사
- 부정유해물질 등에 대한 정밀 분석
- 사회적 이슈가 되는 위해식품 중점 분석
- 가짜참기름 사용여부 확인
- 부적합 빈도가 높은 제품 특별검사
신소재식품 안전성 확보
- 유전자 재조합원료 사용식품 검사 역점 추진
- 콩, 옥수수, 감자 등 유전자 재조합원료 사용 식품 검사
- 도민들에게 먹을거리 선택권과 알권리 제공
- 신소재 및 신 제조기법을 이용한 식품 검사 확대
- 클로렐라, 천연 식이섬유 등 신소재를 이용한 식품에 대한 검사
- 새로운 제조기법, 신기술 등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정밀분석
전략목표 3 : 깨끗한 대기환경 조성
여건
- 삶의 질 향상으로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구 증가
- 대기 · 악취 등 대기 환경오염물질 적정관리 필요
- 실내공기질, 소음 · 진동 등 생활환경 지속적 관리 강화
이행과제
- 대기측정망 관리강화
- 대기환경 적정관리
- 도시소음측정망 운영
- 쾌적한 생활환경 관리
대기측정망 관리강화
- 대기환경 상시측정
- 대기측정망 운영 10개소(청주5,충주2,제천1,청원1,단양1)
- 미세먼지 등 5항목 실시간 연속 자동측정 및 중금속 측정
- 측정자료 공유 및 활용
- 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 연계 및 대기전광판 자료 전송
- 오존 및 황사 주의보·경보 발령 시 문자메시지 즉시 전송
- 대기질 실태파악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대기환경 적정관리
- 대기오염도 검사
- 대기배출시설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 검사
- 연료용 유류 황 함유기준 검사
- 악취 검사
- 악취배출사업장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 검사
- 하수처리장, 매립장 등 환경기초시설 악취검사 지원
도시 소음측정망 운영
- 도시 환경소음 측정
- 운영지역 : 도시지역 65개 지점(청주 35, 충주 15, 제천 15)
- 측정내용 : 분기별 1회 측정(낮시간대 4회, 밤시간대 2회)
- 측정자료 활용
- 상시측정으로 환경소음 실태 체계적 자료 확보 ⇒ 소음관리지역 설정 등 정책수립 기초자료 제공
쾌적한 생활환경 관리
- 실내공기질 검사
-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적합여부 검사
- 일정규모 이상의 대규모 점포, 의료기관, 보육시설 등 대상
- 소음·진동 검사
- 공장, 건설사업장 등 소음·진동의 배출허용기준 검사
- 철도, 도로 등 교통소음·진동의 관리기준 검사
전략목표 4 : 안전한 물환경 보전
여건
- 수질 및 토양에 대한 환경오염물질 적정관리 필요
- 먹는물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도 증가
- 폐기물 등 생활주변 환경 유해오염물질 관리 필요
- 수질·토양, 먹는물, 폐기물 등의 적정관리로 녹색환경보전
이행과제
- 수질 및 토양 측정망 운영
- 수질환경 관리강화
- 먹는물 안전성 확보
-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 강화
수질 및 토양 측정망 운영
- 수질측정망 공공수역 수질현황 측정
- 32개소 매월 1회,(한강수계 14, 금강수계 13, 공단배수 5)
- 수질환경기준 하천수 25항목, 공단배수 35항목 검사
- 토양측정망 대상지역 오염도 조사
- 154지점 년 1회 실시(공업지역 등 12개 지역)
- 토양오염 초과지역은 정밀조사 실시, 대책 및 방안 제시
수질환경 관리강화
- 수질오염 유발물질 검사
- 공단, 공장밀집지역 주변 오염우심하천 수질검사
- 폐수, 하수, 상수원수 및 농업용수 등 수질기준 검사
- 세계조정선수권대회 대비 탄금호 수질실태조사
- 충주 탄금호 3개소 생활 환경기준 실태조사
- 2010년~2013년 계속사업, 분기 1회, 8항목 분석
먹는물 안전성 확보
- 먹는물 검사
- 학교급수, 수돗물, 약수터, 민방위급수 등 수질검사
- 먹는샘물 원수·제품수 및 수처리제의 규격기준 검사
- 상수도 미보급 취약지역 먹는물 무료검사
- 지하수 검사
- 생활·농업·공업용수 용도별 적합여부 수질검사
- 매립시설 주변 오염 확인을 위한 검사정 등 수질검사
생활주변 유해 폐기물 등 관리강화
- 폐기물 등 유해물질, 침출수 등 검사
- 일반 및 지정폐기물 구분을 위한 유해물질 검사
- 유역하천 수질오염 예방을 위한 매립장 침출수 및 오수 검사
- 주요하천 하상퇴적물 오염도 조사(신규)
- 골프장 잔류농약 및 토양오염도 검사
- 골프장의 토양, 잔디 및 유출수에 대한 농약 잔류량 검사
- 민원 및 사고발생시 토양오염도 검사
전략목표 5 : 함께하는 연구원 운영
여건
- 주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조사연구사업 필요
- 보건·환경분야 현장중심 민원해결과 기술지원 제공
- 도민과 함께하는 연구원 역할에 대한 고객욕구 증대
이행과제
조사연구사업 추진
- 다중이용시설 냉각탑수의 미생물 분포 특성
- 레지오넬라균 분포조사 등 미생물학적 위생수준 평가
- 유통 화장품 중 보존제 함량 조사
- 도내 유통화장품의 건강위해 가능 보존제 함량 실태파악
- 유통 화장품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및 알권리 제공
- 체육시설 인조 바닥재 유해물질 노출 평가
- 인조바닥재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배출 실태조사
- 산업단지 악취물질 분포 특성 연구
- 청주산단에서 발생되는 악취 현황 및 특성 조사
- 악취 배출원 관리 및 저감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폐수배출시설 생태독성도 변화에 관한 연구
- 화강암 지질대 지하수의 수질특성 연구
- 우라늄과 미네랄 성분 등을 분석 화강암 지질대 수질특성 연구
- 지질별 우라늄과 미네랄의 상관성 평가 적정 관리자료 활용
- 도내 토양 중 석면오염 실태조사
- 광산 및 폐광산, 학교운동장 등 토양 중 석면 분석
- 석면 위해성 인식제고 및 불필요한 불안감 해소
열린 행정 만족도 제고
- 보건환경 119지원팀 운영 민원 만족도 향상
- 제도권 밖의 민원 발생 시 현장중심의 민원해결
- 5개반 전문 분야별 신속한 운영 지원
- 분야별 정도관리 국내·국제적 우수성 유지
- 보건 16분야 20항목, 환경 7분야 46항목 전 분야
- 국가공인시험기관으로서 분야별 우수성 지속
- 오송 BIO 과학체험교실 운영(신규)
- 초등학교 4~6학년 대상 과학체험 프로그램 개발
- 보건환경 관련 흥미로운 분야별 교실 운영
- 지역특산식품 명품브랜드 개발 지원(현안)
- 지역명품 개발 가능 업체 선정, 첨단장비 이용 분석지원
- 신제품개발, 공정개선 지원 등 맞춤형 지원도
- 사회복지시설 음용 지하수 무료검사(신규)
- 수질검사를 통한 건강상 위해 사전예방
- 먹는물 전항목 검사 및 전문가 진단 및 처방 제공
주요 현안사업
현안사업 1 : 지역특산식품 명품브랜드 개발 지원
사업개요
- 지역명품 개발 가능 업체 선정 첨단장비 이용 분석지원
- 개발된 신제품의 맞춤형 지원을 통한 명품브랜드 창출
필요성
- 지역특색을 살린 명품 브랜드 창출로 기업 경쟁력 확보 방안 대두
- 식품분야의 변화된 시장 및 해외시장 개척에 필요한 신개념의 서비스 업무 창출 필요
추진방향
- 개발된 신제품의 명품화 추진
- 경쟁력 있는 업체의 신제품을 중심으로 명품브랜드 창출을 위한 맞춤형 업무 추진
- 저염김치, 기능성 초콜릿, 버섯장아찌, 기능성 쌀 등
추진계획
- 기간 : 2012. 01월~12월
- 업체 선정 및 실태조사 : 1월~2월/선정결과 공문발송 2월말
- 사업추진 : 3월~12월/성과보고회 개최 : 12월 중순
- 성과측정 : 성과보고, 업체 사례발표, 건의사항 등
- 보고서 작성 : 12월 말
문제점 및 대책
-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전담인력 충원 및 예산 지원 필요
기대효과
- 명품브랜드 개발로 기업경쟁력 제고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법정감염병 진단 지방이양 점차 확대
- 국가진단 감염병 지역거점진단으로 연차적 이관
- 현재 42종 진단, 2종 추가(결핵, A형간염바이러스)
‘12년도 달라지는 제도․시책
식품위생검사 품질보증체계 구축 운영
- 식약청과 연계 우수위생검사 운영시스템 표준모델 문서 구축
- 시험검사분야 국제적 신뢰성보증체계에 대한 인프라 완성
- 검사업무의 신뢰성 제고를 통한 식·의약품의 안전성 확보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대상 확대
- 도민 건강보호 및 환경상 위해 방지를 위해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대상 시설 확대
- 기존 : 17개 시설군 (지하역사, 지하도 상가 등)
- 확대 : 21개 시설군 (실내영화상영관, 연면적 2,000㎡이상 학원, 연면적 500㎡이상 인터넷 컴퓨터 게임시설 제공업, 전시시설 포함)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확대
- 현행 : 36항목 (BOD 등)
- 확대 : 43항목
- (니켈, 바륨, 1,4-다이옥산,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브로모포름 등 7항목 추가)
- 생태 독성이 35종인 사업장에 확대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