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

23년도 성과평가 및 시사점

23년도 성과평가

  • 포스트코로나 대비 감염병 진단 및 감시체계 강화
    • (신속진단) 첨단 진단·검사 장비 도입으로 엠폭스, 결핵, 홍역 등 고위험 감염병의 신속 정확한 진단 및 조기 확산 차단
    • (상시감시) 학교, 산후조리원 및 감염취약시설 대상 감염병 발생 상시 감시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모기·진드기매개 감염병, 급성 호흡기 감염병 등 집단발생에 대한 선제적 예방관리 강화
  • 충북 현안 환경문제 개선을 위한 정책발굴 강화
    • (정책토론) 충북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 정책발굴 전문가 위원회 운영
    • (정책발굴) 바람길숲 조성을 통한 미세먼지 체류시간 단축방안 제시
  • 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 사업 시행
    • (도민지원) 도내 소규모 식품 제조업체의 안전성검사 및 품질관리 지원
      • 자체 시험·검사가 어려운 간편조리세트 제조업체의 안정성 검사 지원
      • 주류제조업체에 대한 제품개발 및 품질관리 기술 지원
    • (기술지원) 개인하수처리 부적합 시절 및 공공 하·폐수처리 시설 성능검증
      • 부적합 원인·개선방안 및 시설 성능평가 진단으로 적정운영 지원
      • 공공 수역 하천수 수질보전으로 레이크파크 르네상스 실현 기반 조성
  • 보건ㆍ환경 분야 시험ㆍ검사 능력 우수기관 인증
    • (보건분야) 질병관리청 감염병 29개 분야 및 식약처 11개 분야(식·의약품, 위생용품, 농산물) 실험실 검사능력 평가에서 적합 인정
    • (환경분야) 국제숙련도(수질, 먹는물, 토양) 7년 연속 우수 평가 및 국립환경과학원 정도관리(대기, 악취, 실내공기질, 폐기물,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유해인자)적합 인정 등 8분야 80항목 국내외 분석능력 인증

시사점

  • (감염병 진단·감시체계 고도화) 차세대염기서열분석 시스템 도입 및 공공하수를 이용한 새로운 감염병 역학감시체계 구축으로 감염병 진단 및 유행 감시체계의 획기적 개선
  • (식품소비환경 변화 대응) 식품 소비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검사 강화로 안전한 식품 제조·유통·소비 기반 강화 필요
  • (미세먼지 체류시간 단축 방안) 충북 지형 특성을 반영한 고농도 미세먼지 체류시간 상세예측 및 바람길숲 조성 등 저감정책 시행에 따른 효과분석
  • (미호강 수질모니터링) 레이파크 르네상스 실현 기반 조성 및 도정 역점추진 「미호강 맑은물 사업」과 연계한 장기적인 수질변화 추이 조사

‘24년도 비전과 추진전략

도민 보건증진·쾌적한 환경조성 5대 전략목표 18개 이행과제
  • 신속한
    감염병 관리
    • 감염병 원인병원체 진단 및 감시 추진
    • 식중독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운영
    • 신‧변종 감염병 병원체 진단검사 고도화
    • 선제적 대응을 위한 감염병 감시사업 강화
  • 식ㆍ의약품 등
    위해 예방
    • 식품 소비환경 변화에 따른 안전성 검사 강화
    • 실생활 중심의 위해 물질 안전성 제고
    • 안전 유통 의약품 등 품질검사 강화
    • 농·수산물 유해 물질 안전관리 강화
  • 쾌적한
    대기환경 보전
    • 과학적 분석시스템을 활용한 측정의 선진화
    • 사업장 대기오염 및 소음·진동관리 강화
    •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신속한 대응
    • 환경소음 측정망 운영
  • 안전한
    물환경 조성
    • 공공수역 수질환경 관리
    • 사업장 폐수 및 환경기초시설 수계영향 저감
    • 먹는물·지하수 안전성 확보
    • 토양 · 폐기물 검사관리 강화
  • 함께하는
    열린연구원 운영
    • 보건·환경 분야 조사연구사업 추진
    • 열린행정 만족도 제고

전략목표 추진계획

신속한 감염병 관리

여건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발생 예방과 조기 인지, 신속한 역학조사 및 대응으로 도민 보건 증진
  • 환경파괴로 인한 신·변종 감염병의 발생 주기 단축 및 감염병의 국가 간 이동 증가에 따라 신종감염병 및 해외유입 감염병에 대한 감시체계 고도화 필요
  • 기온상승으로 기후민감 매개체인 모기·진드기 등에 의한 매개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증가 우려에 따른 선제적 감시 강화 필요

강조감염병 조기인지·대응 위한 실험실 진단 체계 확립

이행과제
  • 감염병 원인병원체 진단 및 감시 추진
  • 식중독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운영
  • 신·변종 감염병 병원체 진단·검사 고도화
  • 선제적 대응을 위한 감염병 감시사업 강화
감염병 원인병원체 진단 및 감시 추진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원인병원체 진단 검사
    • 식중독 발생 원인병원체 규명을 위한 검사 : 500건
    • 설사질환 전파 차단을 위한 상시 감시 운영 : 520건
    • 민방위 급수시설 A형간염 바이러스 검사 지원신규
    • 하수 기반 역학 구축을 위한 하수 내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병원체 감시신규
  • 감염병 확산 방지 및 관리를 위한 진단 검사
    • 다중이용시설 레지오넬라증 원인균 검사 : 600건
    • 항생제 내성균 감염 예방을 위한 진단 검사 : 150건
    • 도심지역 물놀이형 수경시설 레지오넬라균 실태조사신규
식중독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운영
  • 식중독 발생 예방을 위한 감시체계 구축
    • 학교 급식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미생물 오염도 검사 : 160건
    • 노로바이러스 발생 대비 지하수 감시 추진 : 23건
    • 집단급식시설 조리식품 식중독 원인 바이러스 안전성 검사신규
  • 식품, 환경 등의 식중독균에 대한 안전관리 사업
    • 식중독 확산 방지를 위한 식중독균 추적관리시스템 운영 : 730건
    • 기준‧규격 평가에 따른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한 오염도 조사 : 90건
    • 유통 김치류 식중독균 안전성 검사신규
신·변종 감염병 병원체 진단검사 고도화
  • 격리 필요 고위험 감염병 검사체계 운영
    • 메르스, 탄저 등 제1급감염병 진단검사 : 130건
    • 잠복결핵, 홍역, 엠폭스 등 제2급감염병 진단검사 : 2,000건
    • 지역축제장 대상 감염병 선제 감시체계 구축신규
  • 긴급 예방·관리 및 표본감시 감염병 검사체계 운영
    • 후천성면역결핍증, 큐열 등 제3급감염병 진단검사 : 500건
    •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 등 제4급감염병 진단검사 : 200건
    • 도내 가축위생방역 종사자 인수공통감염병 검사 지원신규
    • 감염취약시설 코로나19 집단감염 관리를 위한 진단검사체계 운영신규
    • 도내 보육시설 집단감염병 발생 대비 감시 지원신규
선제적 대응을 위한 감염병 감시사업 강화
  • 감염병 유행파악을 위한 실험실 표본감시 사업
    • 동절기 유행 대비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검사 : 900건
    • 아데노바이러스 등 호흡기바이러스 검사 : 900건
    • 인플루엔자 등 전장염기서열분석체계 구축신규
    • 폴리오 감염병 환경 감시 상시체계 운영신규
    • 도내 하수종말처리장 유입수 감염병 감시 운영신규
    • 노인요양시설 하수기반 호흡기바이러스 감시신규
  • 기후변화 대응 감염병 전파 매개체 감시 사업
    •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생 및 밀도 조사 : 60회
    • 모기매개 플라비바바이러스 5종 병원체 확인검사신규
    • 모기·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방생지 원인 매개체 조사신규
    • 청남대 피크닉 광장 감염병 매개 진드기 감시 지원신규

식·의약품등 위해 예방

여건
  • 식품 소비 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안전한 식품 유통기반 환경조성 및 식중독 발생 우려 해소를 위한 안전관리 강화 필요
  • 실생활에 많이 소비하는 위생용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용도 유통제품의 품질검사 강화 및 안전관리체계 구축
  • 생산지 및 유통경로의 다양화를 반영한 부적합 다빈도 농·수산물에 대한 선제적 안전관리 강화 필요 증대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농·수산물 등 먹거리의 방사능 오염물질에 대한 선제적 안전성 검사 확대 필요

강조식·의약품 등 안전관리로 도민 건강 보호

이행과제
  • 식품 소비환경 변화에 따른 안전성 검사 강화
  • 실생활 중심의 위해물질 안전성 제고
  • 안전 유통 의약품 등 품질검사 강화
  • 농·수산물 유해물질 안전관리 강화
식품 소비패턴 변화에 따른 안전성 검사 강화
  • 국민다소비‧특별관리 식품 기준·규격 검사 : 1,500건
  • 식·의약품 등 미생물 기준·규격 검사 : 300건
  • 안전한 식품 제조를 위한 자가품질 위탁 검사 : 100건
  • 소규모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업체 유효성 검사 지원신규
  • 도내 주요 특산물의 생리활성 물질 조사신규
위생관리를 위한 사전예방적 안전관리 강화
  • 명절 및 기념일 성수식품 안전성 검사 : 100건
  • 학교·유치원 집단급식소 조리식품 등 식중독 예방 검사 : 100건
  • 즉석섭취·편의식품류의 나트륨 함량 조사신규
  • 어린이 기호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당 함량 실태조사신규
  • 다소비 음료류에 대한 인공감미료 사용 실태조사신규
실생활 중심의 위해물질 안전성 제고
  • 시기 및 식품별 위해요인 중점관리
    • 계절별 다소비식품 특별 점검에 따른 검사 : 300건
    • 벤조피렌 등 유해오염물질 집중검사 : 50건
  • 다소비 유통식품 먹거리 안전성 확보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지표성분 등 기준·규격 검사 : 140건
    • 다소비 섭취식품 유해오염물질 기준ㆍ규격 재평가 검사 : 250건
    • 유통 커피원두 곰팡이 독소 안전성 검사신규
안전 유통 의약품 등 품질검사 강화
  • 의약(외)품 및 한약재 안전제품 유통 위한 품질건사
    • 의약품 및 의약외품의 기준·규격 및 안전성 검사 : 50건
    • 위·변조 우려 및 부적합 이력 한약재 품질관리 검사 : 10건
    • 모기, 진드기 기피제 안전성 검사신규
    • 어린이 모발 니코틴 검사신규
  • 다소비 생활용품의 안전성 검사
    • 유통 화장품 기준·규격 및 유해물질 성분 검사 : 50건
    • 위생용품 등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기준·규격 검사 : 250건
    • 색조 화장품 유해 중금속 함량 검사신규
농ㆍ수산물 유해물질 안전관리 강화
  • 농산물 유해물질 검사
    • 위해우려 유통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 : 450건
    • 공영도매시장 내 경매전 농산물 안전성 검사 : 150건
    • 유통 중 농산물 중금속 검사 : 370건
    • 로컬푸드 농산물 안전성 검사
    • 침출차에 대한 유해물질 안전성 조사신규
  • 수산물 안전관리 검사
    • 유통 수산물 중 잔류동물용의약품 검사 : 50건
    • 다소비 수산물 중금속 검사 : 120건
    • 농·수산물 등 방사성 물질 안전성 검사 : 400건
    • 농·수산물 등 선제적 방사능 오염 감시 체계 운영현안
    • PLS 도입에 따른 양식수산물에 대한 선제적 안전성 조사신규

쾌적한 대기환경 보전

여건
  • 미세먼지 재난 대응 충북의 지형적 요인을 반영한 저감정책 및 지역 체류시간 단축 방안 발굴 등을 통한 대기질 관리 필요
  •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 도로교통 배출원 등 점·비점오염원 관리 강화로 2050 탄소중립 정책 달성과 지구온난화 및 기후위기 대응
  • 다중이용시설·신축공동주택·대중교통 등 실내 생활공간의 공기질, 건강 취약계층 활동공간의 유해인자, 악취·소음·진동 등 생활밀착 환경의 안전성 요구 증대

강조도민이 안심하고 생활하는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이행과제
  • 과학적 분석시스템을 활용한 측정의 선진화
  • 사업장 대기오염 및 소음·진동 관리 강화
  •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신속한 대응
  • 환경소음측정망 운영
과학적 분석시스템을 활용한 측정의 선진화
  • 대기오염측정망 운영
    • 대기환경측정소 장비운영 및 자료관리 : 33개소
    • 초미세먼지 생성 기여물질 성분분석
    • 대기오염경보제 상황실 운영 및 측정자료 공개
  • 대기오염물질 실시간 추적관리
    • 대기오염물질 현장측정(이동측정시스템)
    • 음성지역 주요 산업단지 대기오염물질 지도 작성 신규
    • 미세먼지 줄이기 실천교실 운영 신규
    • 충북형 대기질 진단·평가 시스템 운영
사업장 대기오염 및 소음·진동관리 강화
  • 대기배출시설 등 오염도 검사
    • 사업장 대기 배출허용기준 검사 : 200건
    • 국립환경과학원 공동연구 추진
  • 민원 및 사업장 소음·진동 검사
    • 공장, 건설현장 소음ㆍ진동 배출허용기준 적합여부 검사: 10건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신속한 대응
  • 악취 발생 배출원 오염도 검사
    • 악취 민원 발생 사업장의 배출허용기준 검사: 270건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검사
    •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유지기준 적합여부 검사 : 60건
  •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검사
    • 도심지역 광고조명 빛공해 현황 조사 신규
환경소음측정망 운영
  • 도시 소음도 측정
    • 상시측정 : 1,560건
      • (실태조사) 도시지역 소음실태 파악으로 정온한 생활환경을 위한 정책자료 확보
    • 측정지역
      • (측정지점) 인구수, 면적 등을 고려한 도시소음 우려지역
        • 환경소음측정망 운영 3개 시 지역 65개 지점
        • 청주시 7지역(35지점), 충주시 3지역(15지점), 제천시 3지역(15지점)
        • 일반지역 및 도로변지역으로 구분 측정
          * 일반지역 : 녹지지역, 주거지역, 병원지역, 학교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등
    • 측정방법
      • (내 용) 지점 별 분기 1회, 주간 및 야간 측정
      • (방 법) 5분 등가소음도 dB(A) 수동측정
        ㆍ 적용 대상지역(가, 나, 다, 라 지역), 시간대별(주간 4회, 야간 2회) 구분
  • 소음 측정자료 활용
    • 측정자료
      • (공 유) 환경부(한국환경공단) 보고, 도·시 측정자료 공유
        ㆍ 연구원 홈페이지 및 국가소음정보시스템에 공표
    • (활 용) 정온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소음관리 정책에 활용

안전한 물환경 조성

여건
  • 공공 수역의 수질변화 감시 및 다양한 수질오염사고 신속 대응 등 지속적 물관리 체계 구축으로 청정 수질환경 보전
  • 사업장 폐수, 오·하수, 가축분뇨 등 수질오염물질 관리 강화로 레이크파크 르네상스 및 도정 역점 추진『미호강 맑은물 사업』실현 기반 조성
  • 깨끗하고 건강한 먹는 물 욕구 증대 및 중금속, 화학물질, 폐기물 등의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환경 요구

강조하천수, 폐수, 먹는물, 폐기물 검사 강화로 청정한 물환경 조성

이행과제
  • 공공수역 수질환경 관리
  • 사업장 폐수 및 환경기초시설 수계영향 저감
  • 먹는물·지하수 안전성 확보
  • 토양·폐기물 검사관리 강화
공공수역 수질환경 관리
  • 하천수 수질 감시 강화
    • 수질측정망 운영 : : 408건
      • (운영방법) 도내 공공수역 하천수 수질변화 추이 분석
        • 수계별 운영(34개 지점) : 한강수계16, 금강수계18
        • 월1회 정기조사 : 수질환경기준 27항목 수질검사
      • (자료공유)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도, 시·군 측정결과 공유
        • 물 환경개선 정책수립 기초자료 제공
    • 미호강 수질 모니터링
      • (현황조사) 미호강 10개 지류하천 정기 수질변화 조사
        • 월1회 BOD 등 9항목 수질검사
      • (자료분석) 국가측정망운영 미호강 본류 측정자료 연계 분석
    • 충북 도심하천 및 소하천 수질조사
      • (정보제공) 도내 하천 장기 수질모니터링 및 홈페이지 정보 제공
        • 도내 174개 하천 200여지점 수질정보 DB 구축 및 정보 공유
  • 하천 및 호소 수질오염도 조사
    • 민원 발생 수역 수질조사 : 150건
      • (민원발생) 수질 민원발생 수역 오염물질 신속검사
      • (원인분석) 오염원인물질 조사를 통한 민원해결 및 사례 공유
    • 오염우심 하천 수질검사 : 800건
      • (정기검사) 소권역, 비점오염저감시설, 매립장 주변 지표수 수질검사
      • (농업용수) 시·군 및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농업용수검사
    • 수질오염사고 원인 및 사례분석 신규
      • (오염사고) 폐수, 가축분뇨, 화재 등 하천 수질오염 사고 대응
      • (원인분석) 오염사고 유형별 원인분석을 통해 동종 사고발생 예방자료 활용
    • 하천오염사고 관리 담당자 역량강화 교육
      • (역량강화) 시·군 하천오염사고 담당 공무원 전문성 향상 교육
        • 하천오염사고 현장조치 및 시료채취 등 환경피해 신속대응 방안 제고
사업장 폐수 및 환경기초시설 수계영향 저감
  • 사업장 폐수 오염도 검사
    • 폐수배출업소 방류수의 배출허용기준 준수여부 검사 : 750건
      • (지도점검) 폐수 배출허용기준 55항목 신속검사 결과 제공
        • 부적합인 경우 점검기관에 즉시 통보, 행정처분 근거자료 활용
    • 수생태계 안전성 확보를 위한 생태독성 검사 : 50건
      • (생태독성) 물벼룩을 이용한 폐수, 공공하수 급성독성 평가
        • 폐수배출 전 업종에 대한 통합 환경관리 자료 활용
    • 환경분야 시험·검사기관 분석능력 인증
      • (평가분야) 대기·수질 등 8개 분야 국내·외 분석 능력 평가
      • (기관인증) 국제적 분석 능력 인증으로 측정분석기관 신뢰도 확보
  • 하수 등 환경기초시설 오염도 검사
    •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오염도 검사 : 350건
      • (처리시설 검사)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 적정관리 지원
        •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등 7개 항목
    • 개인오수, 가축분뇨처리시설 적정 운영 평가 : 650건
      • (지도점검) 오수·가축분뇨 처리시설 방류수 기준준수 점검
        • 오수 : BOD 등 5개 항목 / 가축분뇨 : TOC 등 6개 항목
    • 개인오수, 가축분뇨처리시설 적정 운영 평가 : 700건
      • (지도점검) 오수·가축분뇨 처리시설 방류수 기준준수 점검
        • 오수 : BOD 등 5개 항목 / 가축분뇨 : TOC 등 6개 항목
    • 개인하수처리시설 설치기준 이해도 향상 교육 신규
      • (역량강화) 시·군 개인하수처리시설 담당 공무원 업무역량 강화 교육 : 2회
        • 오수처리시설 구조 이해 및 설계도서 검토 능력 향상으로 전문성 강화
    • 부적합 오수처리시설 운영 개선 서비스 신규
      • (지원대상) 시·군 지도점검 결과 방류수 기준 초과 오수처리시설
        • 기준 초과 원인 진단 등 기술지원 및 개선안내 통지 서비스 제공
먹는물·지하수 안전성 확보
  • 안전한 먹는물 관리
    • 상수도 및 지하수 등 먹는물 검사: 2,000건
      • (수질관리) 먹는물 수질기준 준수여부 확인을 위한 수질검사
        • 학교급수 및 군부대 먹는물 수질검사
        • 상수도 정수, 민방위비상급수 및 개별 지하수
    • 사회복지시설 무료 수질검사 지원 신규
      • (집중관리) 지하수 사용 취약계층 거주시설에 대한 수질검사 서비스
    • 먹는샘물, 먹는물공동시설 안전관리 검사 : 600건
      • (수거검사) 지도‧점검에 따른 수거시료 검사
        • 유통중인 먹는샘물 수거검사 및 먹는물공동시설 수질검사
      • (품질관리) 먹는샘물 제조업체 정기 수질검사
        • 자가품질관리 등 원수, 제품수 수질검사
  • 지하수 등 수질검사
    • 용도별 지하수 검사 : 600건
      • (수질관리) 오염예방 및 수질보호를 위한 지하수 용도별 수질검사
        • 생활‧농업‧공업 및 어업용수 등으로 사용되는 지하수
        • 매립장 등 주변 지하수 검사정, 지하수 수질측정망(일반지역)
      • (위생관리) 다중이용시설인 수질관리 준수확인 정기검사
        • 수영장수, 목욕수, 온천수, 물놀이형 수경시설, 중수도
    • 여름철 물놀이 시설 수질안전성 조사 신규
      • (집중관리) 공원 바닥분수 등 물놀이형 수경시설 안전성 확보
      • (수질검사) 4항목 : pH, 탁도, 대장균, 유리잔류염소 / 15개소
  • 처리시설방류수 등 수질미생물 검사 : 1,150건
    • (검사항목) 총대장균, 분원성대장균 등 분변오염지표 미생물 검사
      • 하천수, 호소수, 폐수 및 개인오수 등 위생관리 자료 활용
토양·폐기물 등 검사관리 강화
  • 토양 및 폐기물 오염도 검사
    • 토양오염 실태조사 및 오염도 검사: 160건
      • (실태조사) 시·군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토양오염도 실태조사
        • 토양오염의 사전 예방과 오염관리 등의 계획수립 자료 제공
      • (오염도검사) 민원발생 토양오염도 검사
        • 민원발생 및 환경오염사고에 따른 오염의심 주변 지역 조사
      • (실태조사) 자연휴양림 내 야영장 토양 분석 자료 제공 신규
        • 야영장에 대한 중금속 등 토양오염물질 분석 : 10개소
    • 사업장 발생 폐기물 오염도 검사 : 350건
      • (지도점검) 시·군 지도·점검 및 민원발생 관련 폐기물 검사
        • 폐기물 적정 관리 준수여부 확인
      • (민원의뢰) 배출자 참고용 검사 및 연구원 직접 시료채취 검사
        • 일반 및 지정폐기물 여부 판정
  • 골프장 농약 잔류량 검사
    • 골프장 내 토양 및 수질 중 농약 잔류량 검사 : 750건
      • (지도점검) 골프장 살포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준수 여부 확인
        • 9개 시·군 44개 골프장 / 연 2회 실시(4∼6월, 7∼9월 중)
  •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유해인자 조사
    • 어린이 안전확보를 위한 유해물질 검사
      • (실태조사) 아동복지시설 환경유해인자 안전성 평가 지원 신규
        • 도내 아동복지시설 내 도료나 마감재에 대한 유해물질 조사

함께하는 열린 연구원 운영

여건
  • 기후변화와 신종 감염병 감시 등 안전한 식ㆍ의약품 및 농ㆍ수산물의 유통을 위한 조사 연구 수요증가
  • 쾌적한 대기와 안전한 물 환경 조성 및 정온한 생활환경 유지에 필요한 생활 밀접형 조사 연구 확대 필요성
  • 보건ㆍ환경 분야 관련기관에 대한 교육 및 검사업무 맞춤형 기술지원
  • 도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유용한 보건ㆍ환경 분야 정보 제공 및 신속·정확한 민원 처리 등 연구원에 대한 고객욕구 증대

강조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조사연구와 맞춤형 행정서비스 제공

이행과제
  • 보건·환경 분야 조사연구사업 추진
  • 열린 행정 만족도 제고
보건·환경 분야 조사연구사업 추진
  • 도내 하수의 항생제 내성 세균 특성 조사
    • 하수처리장유입수 중 항생제 내성균 분포 및 내성 보유현황 조사
  • 진드기매개 감염병 환자발생지의 참진드기 분포 및 보유 병원체 특성 분석
    • 참진드기 보유 병원체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분석 및 방역 자료 제공
  • 도내 호흡기감염병 역학 및 유전학적 특성 분석
    • 인체 유래 호흡기감염병의 유전학적 특성 확인 및 하수 간 상관관계 연구
  • 효소식품의 a-amylase, protease 활성도 및 안전성 조사 연구
    • 유통 효소식품의 a-amylase, protease, 중금속, 곰팡이독소 분석을 통한 안전성 조사
  • 전처리 방법에 따른 양용식물 곰팡이 독소 오염도 비교 연구
    • 전처리 방법에 따른 약용식물의 곰팡이독소 오염도 비교 분석
  • 유통 채소류의 농약잔류량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 도내 유통 채소류의 농약잔류 특성 파악을 통한 안전성 평가 및 섭취방안 제시
  • 수질 비점오염저감시설 처리효율 개선방안 연구
    • 저감시설 설치 효과 및 운영 문제점을 파악하여 처리 효율 향상 방안 제시
  • 충청북도 자연휴양림의 피톤치드 발생특성 연구
    • 도내 휴양림 별 발생특성 조사로 관광자원 활성화 및 홍보자료 구축
  • 충북지역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지역별 상관성 분석
    • 대기오염 저감 정책 수립(계절관리제 탄력적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개인하수처리시설 TOC, T-N, T-P 배출 특성
    • 업종 및 처리용량에 따른 방류수 특성을 파악하여 적정 운영·관리 방안 제시
  • 강우 영향 및 보관방법에 따른 약수터 수질변화 조사
    • 약수터 수질변화 특성을 조사 안전한 음용을 위한 수질정보 제공
  • 버스정류장 주변 토양 중 중금속농도 평가
    • 다중이용 버스정류장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도를 조사하여 효율적 관리방안 제시
열린 행정 만족도 제고
  • 감염병 검사업무에 대한 관련기관 기술지원
    • 보건소 감염병 담당자 및 검사실 요원 순회교육 실시
    • 보건인력 전문성 향상으로 감염병 발생시 신속 대응
  • 11개 시ㆍ군 대기환경측정망 운영 담당자 현장 교육
    • 대기환경측정소 설치ㆍ교체 및 운영관리 전반에 대한 교육 실시
    • 데이터 관리의 정확성 및 측정자료 신뢰성 확보
  • 환경기초시설 등 수질검사 교육 운영
    • 공공하수처리장, 정수장 검사업무 담당자 정도관리 향상 기술지원
    • 시험검사장비 운영 및 시험방법 교육으로 분석능력 향상
  • 환경 시험ㆍ검사기관 정도관리 평가 지원
    • 시험·검사기관의 측정결과 신뢰도 확보를 위한 현장평가 지원
    • 대기분야 측정대행기관 시험ㆍ검사 능력 정도관리 평가 지원
  • 찾아가는 어린이 과학체험교실 운영
    • 소규모 초등학교 및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과학체험프로그램 운영
      • 보건·환경분야 이론 및 실습교육(PPT활용) / 교재 및 과학체험교구 제공
  • 도민 건강보호를 위한 보건·환경 자료 제공
    • 식품 중 방사능, 대기오염 측정, 수질, 토양, 소음 검사결과를 홈페이지를 통해 상시 정보 제공
    • 고농도 미세먼지·오존 발생 SMS 신속 알림, 도민 건강보호 기여

주요 현안사업

농·수산물 등 선제적 방사능 오염 감시 체계 운영

사업개요
  •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농·수산물 방사능 안전성 조사 확대 강화
  • 감마핵종 분석 시스템 구축에 따른 정기적 방사능 오염물질 상시 감시 체계 운영
  • 농·수산물 방사능 안전성 상시 모니터링 운영으로 도민 건강보호 및 먹거리 불안감 해소
필요성
  •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농·수산물 방사능 오염물질 안전관리 필요성 증가
  • 부적합 농·수산물 유통 차단으로 도민의 건강보호 및 방사능 오염 물질에 대한 도민 불안감 해소
추진계획
  • 기간 : 2024년 2월 ~ 12월
  • 대 상 : 도내 유통 농·수산물
  • 방 법 : 매월 정기적 수거 검사
  • 검사항목 : 요오드(131I), 세슘(134Cs, 137Cs)
    - 세슘 1Bq/kg 이상 검출된 경우 추가핵종(Sr, Pu) 검사의뢰(경인지방식약청)
    ※ 감마핵종분석시스템 : ‘23년 12월 설치완료(충주사무소)
기대효과
  • 선제·정기적 방사능 감시 체계 운영으로 안전한 농·수산물 유통 환경 조성
  • 부적합 농·수산물 유통 차단으로 방사성 오염물질로부터 도민의 건강보호
  • 오염도 검사결과 공개를 통한 도민 불안감 해소 및 방사능 안전관리 통계자료 제공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검사시스템 구축

사업개요
  •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따른 신축 공동주택의 지도·점검 업무수행과 거주환경 실내공기질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 검사장비 구축
필요성
  • 도시인구 집중화 및 지역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주거안정과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공동주택단지 증가 추세
  • 실내공기질 지도·점검 지침(2022.1.27. 환경부)에 따라 당해 준공되는 신축 공동주택의 최소 20%이상 오염도검사 실시 필요
추진계획
  • 기간 : 2024년 1월 ∼ 12월(시스템 구축 및 시범사업)
  • 시스템 구축 :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7개 항목* 측정장비
    * 폼알데하이드,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스티렌, 라돈
    • 필수장비 구매 : 라돈분석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시료채취장치 등 3종 13개
    • 소용예산 : 금194,800,000원정도(’24년도 본예산, 도비 100%)
      필수 검사장비 최소필요 수량(대) 소요금액 (천원) 비고 ※공동주택 총세대수에 따라 측정
      라돈분석기 6 142,200
      • 시료채취 : 3 ∼ 12세대
      • 채취시간 : 78시간
      휘발성유기화합물 시료채취장치 5 15,600
      • 시료채취 : 3 ∼ 20세대
      • 채취시간 : 1시간
      일산화탄소 분석기 2 37,000
      • 시료채취 : 2 ∼ 4지점
      • 채취시간 : 1시간
    • 측정장비 정도검사·교정 및 운영인력 내부정도관리(시스템 구축 완료)
  • 내 용
    • 시범사업 실시 : 2024년 준공완료 되는 500세대이상 단지 신축 공동주택 선정
      ※ 대상단지는 공정률에 따른 준공검사 일정에 따라 조정
기대효과
  •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 및 관리 내실화로 거주환경 안전성 확보
  • 안전하고 머물수 있는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로 도민의 건강보호

신규사업

민방위 급수시설 A형간염 바이러스 검사 지원

사업개요
  • 오염수 유입이 우려되는 노후된 민방위 급수시설 대상 A형간염 바이러스 검사 지원
추진계획
  • 기간 : 2024년 1월 ∼ 8월
  • 대상 : 도내 민방위 급수 시설
  • 내용 : A형간염 바이러스 검사
기대효과
  • 민방위 사태 발생 시 주요 수원으로 이용되는 민방위 급수시설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

하수 기반 역학 구축을 위한 하수 내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병원체 감시

사업개요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유행 양상 파악 및 예방을 위한 도내 공공하수 처리장 유입하수의 주기적 감시 및 분석
추진계획
  • 기간 : 2024년 1월 ∼ 12월
  • 대상 : 충북 도내 6개 공공하수처리장 유입하수
  • 내 용 : 수인성·식품매개성 감염병 원인 세균 16종, 바이러스 5종 검사
기대효과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한 대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도심지역 물놀이형 수경시설 레지오넬라균 실태조사

사업개요
  • 여름철 도내 공원에 설치된 분수대 및 바닥분수 감시를 통해 레지오넬라감염증 조기인지 및 어린이 건강 보호에 기여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9월
  • 대 상 : 도내 공원에 설치된 분수대 및 바닥분수
  • 내 용 : 분수대 및 바닥분수에서 레지오넬라증 원인균 검출검사
기대효과
  • 주기적 감시를 통한 도내 어린이 레지오넬라균 감염 예방 및 건강 보호

집단급식시설 조리식품 식중독 원인 바이러스 안전성 검사

사업개요
  • 집단급식시설 조리식품에 대한 수인성·식품매개 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함으로써 집단 식중독 예방 및 위생 감시활동의 효율성 제고
추진계획
  • 기간 : 2024년 1월 ∼ 11월
  • 대상 : 도내 학교 집단급식소의 당일 제공 조리식품
  • 내용 : 수인성·식품매개성 감염병 원인 바이러스 5종 검사
기대효과
  • 급식시설 위생 관리 및 안심할 수 있는 급식 환경 조성

유통 김치류 식중독균 안전성 검사

사업개요
  • 도내 유통되는 김치류의 식중독균 안전성 검사를 통해 김치류를 통한 식중독 발생의 선제적 예방
추진계획
  • 기간 : 2024년 1월 ∼ 10월
  • 대상 : 도내 유통 김치류
  • 내용 : 여시니아 등 식중독 원인 세균 16종 검사
기대효과
  • 도내 제조·유통되는 김치류의 안전성 제고 및 식중독 예방

지역축제장 대상 감염병 선제 감시체계 구축

사업개요
  • 도내 주요 지역축제장을 대상으로 생물테러병원체 및 급성호흡기 바이러스 선제감시 실시로 감염병 방역관리 강화 및 안전성 확보
추진계획
  • 기간 : 2024년 3월 ∼ 10월
  • 대상 : 충북도내 주요 지역축제장 및 행사장
  • 내용 : 탄저 등 생물테러감염병 및 호흡기바이러스 검출 검사
기대효과
  • 인구밀집도가 높은 축제장내 감염병 감시 강화로 도내 축제 경쟁력 향상 및 안전성 홍보에 기여

도내 가축위생방역 종사자 인수공통감염병 검사 지원

사업개요
  • 도내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종사자에 대한 인수공통감염병(큐열)의 감염 확인검사 지원
추진계획
  • 기간 : 2024년 1월 ∼ 5월
  • 대상 : 감염된 가축과 접촉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 고위험군 : 수의사, 도축업, 축산관련 종사자 등
  • 내용 : 항체검출검사를 통한 고위험군의 감염병 유병률 조사 검사결과 환류 및 양성자에 대한 치료·예방 안내
기대효과
  • 인수공통감염병 확산 차단과 원인규명을 위한 역학적 자료 제공

감염취약시설 코로나19 집단감염 관리를 위한 진단검사체계 운영

사업개요
  • 집단생활로 인한 감염병 확산의 위험도가 높고, 손실 규모가 큰 감염취약시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체계 운영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감염취약시설 중 코로나19 집단감염 발생 시설 입소자
  • 내 용 : 코로나19 유증상자 및 밀접접촉자 코로나19 유전자검사
기대효과
  • 청주소재 감염취약시설 대상 코로나19 진단을 통한 고위험군의 대규모 확산 방지 및 피해 최소화

도내 보육시설 집단감염병 발생 대비 감시 지원

사업개요
  • 감염에 취약한 영·유아가 집단생활하는 보육시설에 대해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등 바이러스성 감염병 감시 강화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12월
  • 대 상 : 보육시설 대상 신규시책사업 신청 어린이집 등
  • 내 용 : 보육시설내 호흡기바이러스 13종 검사 및 위생교육 등
기대효과
  • 도내 영유아 대상 감염병 감시 강화를 통한 감염병 유행 사전 예측

인플루엔자 등 전장염기서열분석체계 구축

사업개요
  • 미래팬데믹을 대비하기 위한 코로나19 등 유전학적 계통분석체계 구축으로 대응역량 고도화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진단 검사 및 표본감시사업 검체 등
  • 내 용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전장염기서열분석체계(NGS) 구축, 코로나19 및 인플루엔자 하위 변이 바이러스 분석
기대효과
  • 포스트코로나19 대비 재유행·대유행 감염병의 식속한 원인 규명 가능

폴리오 감염병 환경 감시 상시체계 운영

사업개요
  • 세계보건기구 폴리오 박멸전략에 따른 하수 대상 국내 폴리오 환경감시체계 구축 및 운영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12월
  • 대 상 : 도내 하수종말처리장 1개소
  • 내 용 : 하수 내 엔테로바이러스 환경지표 유전자 검사
기대효과
  • 폴리오 환자감시 한계점을 보완하고 해외유입 감시로 조기 인지 가능

도내 하수종말처리장 유입수 감염병 감시 운영

사업개요
  • 도내 하수종말처리장 유입수를 대상으로 선제적 감시체계 운영을 통한 감염병 유행의 조기인지 및 확산 방지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도내 하수종말처리장 6개소
  • 내 용 : 하수종말처리장 유입수 중 바이러스 등 11종 검출 확인
기대효과
  • 포스트코로나19 대비 감염병 확산 방지 신종감염병 출현에 대한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

노인요양시설 하수기반 호흡기바이러스 감시

사업개요
  • 감염취약시설인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하수 중 호흡기바이러스를 검사하여 감염병 유행 사전 예측 및 대응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충북소재 요양병원 대상 하수 검체
  • 내 용 : 요양병원내 하수 중 호흡기바이러스 9종 검사
기대효과
  • 요양병원내 호흡기 감염병 유행 전 발생추이 분석 및 전파 차단

모기매개 플라비바이러스 5종 병원체 확인검사

사업개요
  •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 강화로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 및 방역 강화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4월 ∼ 11월
  • 대 상 : 일본뇌염 유행예측사업 조사지 내 채집 모기
  • 내 용 : 채집모기의 플라비바이러스 5종 병원체 감염 여부 조사
기대효과
  • 모기매개 감염병의 발생 및 유행 예측으로 도민 건강보호 실현

감염병 매개모기의 과학적 방제를 위한 모기 발생 감시

사업개요
  • 청주시 내 도심·주거지역의 감염병 매개모기 발생 감시 강화
  • 보건소 연계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 운영 지원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4월 ∼ 11월
  • 대 상 : 청주시 모기 민원발생지역 내 DMS로 채집된 모기
  • 내 용 : DMS로 채집된 모기의 종 분류·동정 결과 환류
기대효과
  • 효과적인 방역자료 제공으로 모기매개 질환에 대한 선제적 대응 가능

모기·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발생지 원인 매개체 조사

사업개요
  • 환자 발생지 주변 매개체(참진드기, 모기) 채집과 병원체 감염 여부 조사를 통해 추가 환자 발생 방지 및 방역 강화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4월 ∼ 12월
  • 대 상 : 도내 환자 발생지 주변 채집 참진드기 및 모기
  • 내 용 : 감염병 매개체 채집 및 SFTS, 플라비바이러스 5종 검사
기대효과
  • 감염자 발생 시 신속한 감염병 매개체 조사, 방역 및 예방 활동 등 선제적 대응으로 도민의 불안감 해소 및 안전성 확보

청남대 피크닉 광장 감염병 매개 진드기 감시 지원

사업개요
  • 청남대 시설 개방 확대에 따라 쯔쯔가무시증 등 진드기 매개 감염병 감시를 통한 청남대 관광객 감염 가능성 예측 및 방역 강화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4월 ∼ 11월
  • 대 상 : 감염병 매개 진드기(털진드기 및 참진드기)
  • 내 용 : 청남대 가족단위 피크닉 시설의 감염병 매개체 채집·동정 및 SFTS 바이러스, 쯔쯔가무시균 등 병원체 보유 검사
기대효과
  • 관광객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안전한 청남대 관광자원 개발

소규모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업체 유효성 검사 지원

사업개요
  • 소규모 해썹(HACCP) 업체의 중요관리점(CCP) 유효성 검사 지원을 통한 도내 안전관리인증기준 지속성 관리
    ※ 소규모 해썹 업체: 연 매출 5억원 미만 또는 종사자 21명 미만 업체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도내 소규모 해썹 인증 업체
  • 내 용 : 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위해요소 CCP 유효성 검사
기대효과
  • 도내 소규모 해썹 업체의 지속성 관리를 통한 식품의 안전성 확보

도내 주요 특산물의 생리활성 물질 조사

사업개요
  • 도내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판매되는 지역 대표 특상물의 생리활성 성분 검사를 통한 특산물 긍정 이미지 제고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7월 ∼ 12월
  • 대 상 : 도내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판매되는 지역 대표 특산물
  • 내 용 : 생리활성 선분 검사[미내랄(칼륨, 인 등), 비타민 C, 총플라보노이드 및 당함량]
기대효과
  • 지역 특산물 주요 성분 검사에 따른 과학적 자료 축적으로 특산물 홍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

즉석섭취·편의식품류의 나트륨 함량 조사

사업개요
  •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즉석섭취·편의식품류에 대한 나트륨 함량 조사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3월 ∼ 10월
  • 대 상 : 도시락, 김밥, 햄버거 등 즉석섭취·편의식품
  • 검사항목 : 다소비 즉석섭취·편의식품에 대한 나트륨 함량 분석
기대효과
  • 나트륨 과잉 섭취의 요인이 될 수 있는 즉석섭취·편의식품에 대한 나트륨 햠량 정보를 제공하여 도민 건강 증진

어린이 기호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당 함량 실태조사

사업개요
  • 어린이들의 당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공식품의 당류 함량을 조사하여 안전한 어린이 먹거리 환경 조성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도내 유통중인 가공식품(과자류, 빵류, 캔디류 등)
  • 내 용 : 당류 검사(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Lactose)
기대효과
  • 성장기 당류 과잉 섭취로 인한 질병예방으로 어린이 건강 보호

다소비 음료류에 대한 인공감미료 사용 실태조사

사업개요
  • 설탕보다 단맛을 200배 더 내는 인공감미료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및 사카린나트륨에 대한 도민들의 막연한 불안감 해소 및 알 권리 제공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5월∼10월
  • 대 상 : 도내 유통 중인 음료류
  • 내 용 : 인공감미료 3종(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사카린나트륨)
기대효과
  • 사용기준의 제·개정, 중장기 안전성 관리대책 등 정책 반영 자료로 활용

유통 커피원두 곰팡이독소 안전성 검사

사업개요
  • 지속적인 성장세로 소비가 증가하는 커피원두 안전성 조사
  • 커피 원두에 곰팡이 독소 오염사례 확인
추진계획
  • 2024년 9월∼10월
  • 대 상 : 도내 프랜차이즈 등에서 판매되는 커피원두
  • 내 용 : 곰팡이 독소 5종(총아플라톡신, 아플라톡신 B1, 푸모니신, 오크라톡신 A, 제랄레논
기대효과
  • 곰팡이독소 오염 실태의 선제적인 안전성 조사
  • 지속적인 유해물질 모니터링으로 건전한 식생활 도모

모기, 진드기 기피제 안전성 검사

사업개요
  • 모기, 진드기 기피제 중 유해성분 검사로 인체에 직접 사용하는 제품의 안전성 확인 및 제품선택 정보 제공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5월 ∼ 6월
  • 대 상 : 도내 유통 중인 모기, 진드기 기피제
  • 내 용 : 파라벤류,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MIT) - 대한민국약전 일반시험법 보존제시험법
기대효과
  • 도내 유통 모기, 진드기 기피제의 안전성 검증 및 위해 우려 해소
  • 의약외품 기피제의 관리 및 안전한 제품선택 정보제공

어린이 모발 니코틴 검사

사업개요
  • 흡연 가족의 어린이 모발 니코틴 정량 검사로 간접흡연의 피해에 대한 수치를 데이터화하여 관련 분야의 자료로 활용함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2월 ∼ 10월
  • 대 상 : 도내 7개 보건소 관내 어린이집 원아
  • 내 용 : 모발 니코틴 검사
기대효과
  • 금연 지원 사업 등 관련 분야의 기초 자료로 활용함

색조화장품 유해 중금속 함량 검사

사업개요
  • 생산량 및 수요가 증가하고 사용연령이 낮아지는 색조화장품의 안전성을 확인하여 건전한 유통 도모 및 소비자에게 정보제공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4월 ∼ 5월
  • 대 상 : 도내 유통 색조화장품
  • 내 용 : 중금속 5종(납, 비소, 카드뮴, 안티몬, 니켈)
기대효과
  • 도내 유통 색조화장품의 안전성 검증과 건전한 제품 유통 기여

침출차에 대한 유해물질 안전성 조사

사업개요
  • 기호식품의 세계화, 다양화에 따른 침출차 유통규모 확대와 경로 다양화
  • 유통 다(茶)류의 안전성 모니터링을 통한 소비자의 불안감 해소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2월 ~ 6월
  • 대 상 : 도내 유통중인 침출차(보이차, 녹차 등 구내/수입)
  • 추진내용 : 대형 유통매장 내 침출차 시료 수거 및 검사
    • 검사항목 : 잔류농약 339종 및 중금속(납, 카드뮴)
기대효과
  • 소비트렌드를 반영한 국내 및 수입 침출차 안전관리 강화로 도민 불안감 해소

PLS 도입에 따른 양식수산물에 대한 선제적 안전성 조사

사업개요
  • PLS제도가 수산물로 확대 시행에 따른 다소비 양식수산물 안전성 확보
  • 부적합 양식 수산물의 유통 차단으로 도민의 건강보호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2월 ~ 11월
  • 대 상 : 대형마트 및 도매시장 등에 유통되는 양식수산물
  • 추진내용 : 시료 수거 및 검사
    • 검사항목 : 동물용의약품 100여종* 및 중금속(납, 카드뮴)
      * 2024년1월부터 동물용의약품 검사 항목 100여종으로 확대 예정
기대효과
  • 수산물의 잔류허용기준(PLS) 확대 도입에 따른 동물용의약품 오남용 방지 및 안전관리 강화

음성지역 주요 산업단지 대기오염물질 지도 작성

사업개요
  • 이동측정차량을 이용한 음성지역 주요 산업단지 대기오염정도 현장측정
  • 모니터링 결과를 통한 대상지역의 대기오염물질별 오염 지도 작성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음성소재 원남산단, 금왕산단
  • 내 용
    • 측정항목 : 미세먼지(PM-10, PM-2.5), VOCs 등 약 40종
    • 방법 : 미세먼지 측정장비 및 SIFT-MS를 장착한 차량을 활용 이동측정
      * (미세먼지 측정장비) 광산란법, (SIFT-MS) 선택적다중이온질량분석법
    • 측정주기 : 분기별 2회(오전/오후)
기대효과
  • 산업단지 내 지점별 대기오염물질 분포 현홯 자료제공

미세먼지 줄이기 실천교실 운영

사업개요
  • 도내 초/중 학생 대상 미세먼지 관련 정보와 행동요령 전달
  • 일상생활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천방법 소개
추진계획
  • 기 간 : 하계 방학 기간(4주) / 주 1회, 10명 운영
  • 대 상 : 도내 초/중 학생 (40명)
  • 방 법
    • 참여방법 : 홈페이지를 통한 참가 신청 → 프로그램 참여
    • 운영내용 : 미세먼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 및 피해 예방 교육
    • 운영장소 : 충북보건환경연구원
기대효과
  • 미세먼지 정보 및 저감방법 실천운동 전개로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 제고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지도·점검 시행

사업개요
  • 준공예정인 신축 공동주택의 입주전 실내공기질 지도·점검 시행
  • 안전하고 쾌적한 실내공기질 관리 및 살기 좋은 주거환경 조성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6월 ~ 12월
    • 충북도내 2024년도 준공예정 신축 공동주택단지 현황조사 : 6월
    • 조사대상 선정 및 실내공기질 검사 : 7월 ~ 12월
  • 대 상 : 2024년도 준공예정인 신축 공동주택
  • 검사항목 :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기준 전항목
기대효과
  • 신축공동주택의 입주전 실내공기질 확인으로 건강한 주거생화 지원

도심지역 광고조명 빛공해 현황 조사

사업개요
  • 인공조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과도한 빛 방사 등으로 인한 도민의 건강보호 및 인공조명의 환경친화적 관리를 위한 도심지역에 설치된 광고조명의 빛공해 현황 조사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4월
    • 조사대상 선정 및 공문시행 : 1월
    • 현장측정 및 측정 프로그램 운영 : 2월 ~ 4월
  • 대 상 : 도심의 민원발생 지역에 설치된 광고조명
  • 검사항목 : 면휘도계를 이용한 발광표면휘도 측정
기대효과
  • 인공조명으로 인한 빛공해 민원해소 및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수질오염사고 원인 및 사례분석

사업개요
  • 오염사고 발생 유형별 원인분석을 통한 동종사고 예방자료 활용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도내 수질오염사고 발생 하천 및 호소
  • 내 용 : 오염사고 수질검사, 사교유형 및 원인 파악, 자료축적 및 공유
기대효과
  • 수질오염사고 특성 및 사고 원인 분석을 통한 공공수역 수질 안전성 확보

하천오염사고 관리 담당자 역량강화 교육

사업개요
  • 시·군 담당 공무원의 하천오염사고 현장 초기 대응 및 시료채취 전문성 강화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시·군 담당 공무원
  • 내 용
    • 시료채취 이론(시료채취 지점·시료채취 방법 등)
    • 시료채취 실습(항목별·보존방법 등)
기대효과
  • 하천오염사고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증대로 오염사고로 인한 민원 발생 시 신속대응과 정확한 시료채취

개인하수처리시설 설치기준 이해도 향상 교육

사업개요
  • 담당공무원의 개인하수처리시설 설치 기준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설계도서 검토 능력 향상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2회
  • 대 상 : 시·군 담당공무원
  • 내 용 : 개인하수처리시설 설치기준 및 설계도서 검토사항
기대효과
  • 개인하수처리시설 기술검토 능력강화로 개인하수처리시설 적정 설치 유도
  • 공공수역 수질오염물질 사전차단으로 청정환경보전에 기여

부적합 오수처리시설 운영 개선 서비스

사업개요
  • 오수처리시설 부적합 운영 시설 개선을 위한 기술진단서비스 제공
  • 소규모 부적합 오수처리시설 소유주(관리인)에게 시설 개선을 위한 운영·관리 방안 안내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시·군 의뢰 지도점검 대상 오수처리시설 중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 시설
  • 내 용 : 부적합 운영 시설 기술 지원 및 개선 안내 통지서비스 제공
  • 추진방법 : 충북녹생환경지원센터와 협업으로 공동 추진
기대효과
  • 오수처리시설 관리자의 운영능력 향상을 통한 수질보전에 기여

사회복지시설 무료 수질검사 지원

사업개요
  • 지하수를 사용하는 도내 사회복지시설의 무료수질검사 서비스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도내 아동복지시설,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시설 등
  • 내 용 : 먹는물 전항목 검사 및 수질관리 컨설팅
기대효과
  • 사회복지시설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여 안전한 먹는물 공급
  • 영유아 등 취약계층 거주시설의 수질검사를 통한 건강보호

여름철 물놀이 시설 수질안전성 조사

사업개요
  • 여름철에 어린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원의 바닥분수, 연못 등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수질오염 실태 조사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6월 ~ 8월
  • 대 상 : 다중이용 물놀이 수경시설
  • 내 용 : 수경시설 4항목 검사(pH, 탁도, 대장균, 유리잔류염소)
기대효과
  • 취약계층인 어린이들이 더욱 안전하고 깨끗한 물놀이형 수경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선제적 안전성 확보하여 건강보호에 기여

자연휴양림 내 야영장 토양 분석 자료 제공

사업개요
  • 도내 자연휴양림 내 야영장에 대한 중금속 등 토양오염물질 분석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3월 ~ 9월
  • 대 상 : 도내 자연휴양림 야영장 10개소
  • 내 용 : 중금속(Cd, As, Hg, Pb, Cr6+Cu, Zn, Ni), 기생충(란) 검사
기대효과
  • 자연휴양림 내 야영장 토양오염도 분석으로 구체적 오염 정보 제공

아동복지시설 환경유해인자 안전성 평가 지원

사업개요
  • 아동복지시설의 환경유해인자 안정성 평가 지원을 위한 중금속 분석서비스 제공
추진계획
  • 기 간 : 2024년 1월 ~ 12월
  • 대 상 : 아동복지시설 20개소(지역아동센터 등)
  • 내 용 : 중금속간이측정기를 이용한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측정
기대효과
  • 어린이가 활동하는 사회복지시설의 환경안전규정 준수여부에 대한 확인검사를 지원하여 쾌적한 환경 조성 및 어린이 건강보호 도모

2024년도 달라지는 제도‧시책

축·수산물 동물용의약품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LS)* 도입

  • 축산물(소, 돼지, 닭, 우유, 달걀) 및 수산물(어류)에 별도의 기준이 없는 경우 불검출 수준 일률기준(0.01 ng/kg)을 적용
    * 허용물질목록 관리 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
  • 동물용의약품 오남용 방지 및 수입 축·수산물의 안전관리 강화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 제2021-54호(21.6.29.) → 시행(‘24.1.1.)

하수도법령 개정에 따른 오수처리시설 관리 강화

  • 소규모 오수처리시설 준공 후 수질검사 강화
    • 기존 : 50 ㎥/일 이상 시설 → 개정 : 3 ㎥/일 초과 시설
  • 소규모 오수처리시설 설치 기술검토 기관 보건환경연구원 추가지정
    •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 시설 기술지원, 적기 시설개선 유도
      ※ 하수도법(법률 제18914호, 2022. 6. 10 공포) : ‘22.12.11. 시행

충청북도 조명환경관리구역 지정

  • 목적 : 인공조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과도한 빛 방사 등으로 인한 건강보호와 환경상위해를 방지하고 인공조명의 친환경적 관리를 통한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 대상조명 : 공간조명(가로등·보안등·공원등), 광고조명, 장식조명
  • 지정방법 : 용도지역 토지이용현황 등을 고려한 1~4종 구분하여 빛방사허용기준 차등 적용
    • 1종(보전녹지, 자연녹지), 2종(생산녹지, 농림지역), 3종(주거지역), 4종(상업지역, 공업지역)
      ※ 「청주시 흥덕구 조명환경관리구역 지정 고시」 시행(’24.1.1.)
      (경과조치) 조명환경관리구역 시행일 전에 설치된 조명기구가 빛방사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3년 이내에 빛방사 허용기준에 적합하도록 조치
  • 조명환경관리구역 지정 지역 및 면적
    • (지정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 도내 전지역
    • (지정면적) 199.9 ㎢ → 7,404.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