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자정보
- 부서 : 복지정책과
- 문의전화 : 043-220-3033
사업시행주체
시·군 또는 민간위탁(지역자활센터 등)
사업종류
- 시장진입형 : 집수리사업, 청소, 폐자원재활용, 도시락, 음식물 처리, 영농, 환경정비 등
- 인턴·도우미형 : 이·미용, 전기, 요리, 운전 등 기술습득이 가능한 근로
- 사회서비스형 : 간병서비스, 장애인통합 보조교육, 정부양곡배송 등
- 근로유지형 : 시설물관리사업, 지역환경정비 등 공공서비스 제공 사업
자활급여 기준(2021년 기준)
(단위 : 원 / 인·일)
구 분 | 시장진입형/기술‧자격자 | 인턴·도우미형 | 사회서비스형/기술‧자격자 | 근로 유지형 | |
---|---|---|---|---|---|
복지‧자활도우미인턴 | 사회복지 시설도우미 | ||||
급여단가 | 52,952/56,950 | 52,952 | 45,860 | 45,860/49,860 | 25,240 |
비 고 | 1일 8시간, 주5일 | 1일 5시간, 주5일 |
강조실제 참여일에 한하여 1일 4,000원 실비 지급
사업목적
경쟁력이 떨어지는 저소득층에 대한 자활사업 및 교육·훈련과 공동작업장 운영, 생업자금 융자 알선, 일거리알선 등 자활프로그램 제공
지역자활센터현황
(2021. 3월말 기준)
센터명 | 센터장 | 설립일 | 소재지 | 전화번호 | 운영법인(단체) |
---|---|---|---|---|---|
충북광역자활센터 | 박재국 | 13. 04. 04. | 청주시 서원구 구룡산로216(세종빌딩)2층 | 298-9112 | (재)한국자활복지개발원 |
청주지역자활센터 | 이선재 | 00. 08. 24. | 청주시 상당구 남사로 83번길 | 288-1432 | (재)청주교구천주교회 유지재단 |
청원지역자활센터 | 김경호 | 01. 07.01. |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중심상업2로 49, 도암빌딩 3층 | 269-5720 | (사)일하는 공동체 |
충주지역자활센터 | 김승호 | 21. 02. 04. | 충주시 예성로 208 | 855-2800 | 사회복지법인 숭덕원 |
제천지역자활센터 | 장영주 | 01. 07. 01. | 제천시 의림대로 43 | 648-2983 | (사)충청북도사회복지개발회 |
보은지역자활센터 | 성낙현 | 02. 12. 31. | 보은군 보은읍 중초길 4 | 543-2033 | 보은밀알선교단 |
옥천지역자활센터 | 강호신 | 01. 12. 31. | 옥천군 옥천읍 중앙로 126, 다목적회관 3층 | 731-1549 | 옥천사회복지협의회 |
영동지역자활센터 | 이준호 | 04. 04. 01. | 영동군 영동읍 학산영동로 1186 | 745-8481 | (사)레인보우영동개발원 |
증평지역자활센터 | 오종식 | 01. 07. 01. | 증평군 증평읍 중동길 8, 축협 3층 | 838-9230 | 열림재단 |
진천지역자활센터 | 신성철 | 00. 08. 24. | 진천군 진천읍 중앙북1길 11-10, 종합사회복지관 2층 | 533-5981 | 한국기독교장로회 |
괴산지역자활센터 | 김대식 | 02. 12. 31. | 괴산군 괴산읍 괴강로 15 | 832-1008 | 괴산군 (직영) |
음성지역자활센터 | 박용훈 | 01. 12. 31. | 음성군 음성읍 설성로 83, 2층 | 872-8868 | 음성군사회복지협의회 |
단양지역자활센터 | 김미정 | 04. 04. 01. | 단양군 단양읍 수변로 83, 사회복지회관 3층 | 421-6911 | 기독교 대한감리회 |
사업목적
수급자 및 차상위자가 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재정적으로 지원
사업개요 (2021년 기준)
구 분 | 희망키움통장Ⅰ | 희망키움통장Ⅱ | 내일키움통장 | 청년희망키움통장 | 청년저축계좌 |
---|---|---|---|---|---|
가입 대상 | 일하는 생계·의료 수급가구 | 일하는 주거·교육 수급가구 및 차상위 계층 가구 | 자활근로사업참여자 | 일하는 생계급여수급자 (15~39세) |
일하는 주거ㆍ교육급여가구 및 차상위가구 수급청년 (만15~39세) |
본인 저축 | 월 5 또는 10만 원 | 월 10만원 | 월 5/10/20만원(택1) | 본인저축 없음 (월10만원 본인소득에서 추가 공제하여 저축-근로소득공제금) |
월 10만원 |
정부 지원 | 가구소득에 비례한 일정 비율 (평균 360,000원, 최대 663,000원) |
본인 저축액에 1:1 매칭 | 본인 저축액에 1:1 매칭(최대 10만원) | 본인 소득에 비례한 일정 비율 (평균 377,000원, 최대 538,000원) |
본인 저축액에 1:3 매칭 |
기타 지원 | 민간매칭금 (본인 저축시 월정액 2만원) |
없음 | 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 수익금 ※ 자활사업단 매출액 발생 시 지원 가능 |
민간매칭금 (본인 저축 시 월 최대 2만원) |
없음 |
3년 평균 적립액 | 본인저축액+근로소득장려금+은행이자 = 평균 1,728만원 + 이자 |
본인저축액(10만원)+정부지원금(10만원)+은행이자 = 평균 720만원 + 이자 |
본인저축액 + 정부지원금(최대10만원)+ 이자 = (20만원 적립시)2,268만원 + 이자 |
근로소득공제금(10만원)+근로소득장려금+은행이자 = 평균 1,789만원 + 이자 |
본인저축액 + 정부지원금 + 이자 = 최대 1,440만원 + 이자 |
지원 조건 | 3년 이내 생계· 의료 탈수급 | 통장 3년 유지 + 교육 이수 | 3년 이내 탈수급 또는 일반노동시장 취·창업 등 |
3년 이내 생계급여 탈수급 | 자립역량교육이수, 국가공인 자격증 취득 |
강조공통 지원조건: 정부지원금의 50% 이상 자활ㆍ자립 용도 증빙(주택구입ㆍ임대, 교육, 기술훈련, 사업자금 등)